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조상 찾기 서비스’로 범인 잡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활용해 가계도를 확인해주는 서비스다. 노아 로젠버그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학과
교수
팀은 미국에서 유행 중인 조상 찾기 서비스 이용자의 게놈 데이터를 이용해 범죄 수사에 쓰이는 DNA 확인 기술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고 국제학술지 ‘셀’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보통 범죄 수사에서 DNA ... ...
[과학뉴스] 비버가 만든 댐, 강물을 깨끗하게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섞인 흙을 거르면서 물의 질소 농도도 낮아진 것이죠. 연구에 참여한 리처드 브래져
교수
는 “비버의 댐이 많아지면 생태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어요 ... ...
[과학뉴스] 찾았다! 중성자별 쌍성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별은 폭발 과정에서 태양 질량의 5분의 1 수준의 물질을 방출하는 데 그쳤다. 카슬리왈
교수
는 “이 별 가까이에 백색왜성이나 중성자별, 블랙홀 등 쌍성을 이루는 별이 존재한다는 증거”라며 “별이 폭발할 때 방출된 입자의 상당수가 쌍둥이별의 중력에 이끌려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10.1126 ... ...
[과학뉴스]실험실에서 키운 망막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존스턴 주니어 미국 존스홉킨스대 생물학과
교수
팀이 줄기세포를 망막 오가노이드로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오가노이드는 실제 장기와 비슷한 구조와 세포 구성, 기능을 지닌 ‘미니 장기’다.연구팀은 망막으로 분화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와 화학물질을 공급해 줄기세포를 2주간 배양했다. 그 결과 ... ...
[과학뉴스] 스프레이로 뿌려서 ‘나노 안테나’ 제작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나노미터·nm는 10억분의 1m) 안테나도 만들었다.연구에 참여한 바바크 아나소리 드렉셀대
교수
는 “막센으로 만든 안테나는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다른 첨단 나노 소재로 만든 안테나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며 “우리 생활과 밀접한 기기들의 활용도를 크게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126 ... ...
공부 잘하는 약 ‘스마트 드럭’의 유혹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오남용 예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가별 스마트 드럭 복용 통계 라리사 마이어
교수
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이 미국, 독일 등 15개국 약 11만 명(2015년 7만9640명, 2017년 2만9758명)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ADHD 환자가 아닌데도 뇌기능 강화를 위해 ‘스마트 드럭’ 복용을 한 적이 있다고 ... ...
[TECH]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doi:10.1038/s41467- 018-04906-1 박
교수
는 “이 지문 센서는 온도와 압력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위조 지문을 구분할 수 있다”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만큼 앞으로 쓰임새가 많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화면 반으로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2018년 10월 1일,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제임스 앨리슨 미국 MD앤더슨암센터
교수
와 혼조 다스쿠 일본 교토대 명예교 ... 면역 회피 기작과 면역항암 치료법이다. 미국 텍사스주 MD앤더슨암센터에서 제임스 앨리슨
교수
와 공동으로 연구한 바 있다. limsoe@purdue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5달러(약 5630원) 이하로 줄이는 것이 목표다.대량생산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포스트
교수
가 패티 한 장을 만드는 데에는 수개월이 걸렸다. 그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육세포를 더 작은 공간에서 더 크게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평면이 아닌 공 모양의 배지를 제안하기도 했다. 공 모양이 공간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발병하면 거의 무조건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좀비 바이러스 후보라고 할 수 있다. 김
교수
는 “광견병 외에도 일본뇌염이나 뇌수막염처럼 뇌에 침입하는 병원체가 이상 행동을 유발할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