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시작했다”고 말했답니다. [인터뷰] 천종식(천랩 대표이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 장내미생물이 좋아하는 음식을 드세요!” Q스마일바이오미 프로젝트로 무엇을 알 수 있나요?장내미생물은 식습관이나 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요. 그래서 나라마다 장내미생물의 구성이 조금씩 ... ...
튜링의 논문은 현대 수리생물학자에게 어떤 의미일까요?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수 있거든요. 더 많은 분야에서 쓰일 수 있게 보장해주는 게 수학자의 역할이고요.2. 혹시
교수
님 연구도 튜링의 연구가 관련이 있나요?저는 종양의 증식이나 악성 종양의 발생같은 복잡한 생물학적 현상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생물학적 연구가 다양해지고 세밀해지며 ‘종양학’이라는 ... ...
2019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이렇게 바뀐다!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알고리즘 챔피언십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 대회입니다. 엄
교수
는 “한국정보올림피아드와 성격이 겹치는 부분이 있지만 알고리즘 챔피언십은 영재 발굴 목적이 아닌 만큼 초·중등 SW 교육과정에 초점을 맞출 전망”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실시간 순위변동 생중계 등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NPU와 카메라 기능이 결합한 사례다. 촬영된 사진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김
교수
는 “앞으로는 AI 프로세서가 스마트폰의 혁신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2018년 10월 1일,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제임스 앨리슨 미국 MD앤더슨암센터
교수
와 혼조 다스쿠 일본 교토대 명예교 ... 면역 회피 기작과 면역항암 치료법이다. 미국 텍사스주 MD앤더슨암센터에서 제임스 앨리슨
교수
와 공동으로 연구한 바 있다. limsoe@purdue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물들였다. 하지만 그는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당당히 마주했다. 필자가 본 아놀드
교수
의 모습 중 가장 행복한 모습이었다. 그의 사무실 문 옆에 붙어있는 작은 카드가 새삼 생각나는 날이었다. 그 카드에는 ‘할 수 있다고 믿었기에 결국 해냈다’고 적혀 있다.조인하미국 웨슬리언대에서 물리학과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태아는 언제부터 사람으로 볼 수 있을까요?”대학에서 발달생물학을 가르치고 있다고 하면 으레 받는 질문입니다. 낙태 허용과 같이 공방이 벌어지는 사회 이슈에 과학적인 해답을 기대하며 질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그러나 모순적이게도 저는 과학자이기에 해답을 줄 수가 없습니다. 배아 ... ...
[롤링수톤] 머릿속 맴도는 수능금지곡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높으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니 너무 어려우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또 하이먼
교수
는 문제의 노래를 찾아 끝까지 들어버리라고 합니다. 머릿속에 맴도는 노래는 대개 일부분만 알고 있어 끝마치지 못한 상태로 남아있는 게 원인이라는 것이지요. 끝내지 못했기 때문에 반복해서 생각난다는 게 ... ...
[과학뉴스] 외계행성 도는 ‘달’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0월 3일자에 발표했다. 이 대학 천문학과 데이비드 키핑
교수
와 알렉시스 티치 박사과정 연구원은 케플러우주망원경이 발견한 외계행성 284개를 분석했다. 그 중 지구에서 800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 ‘케플러-1652b’를 주목했다. 그리고 케플러우주망원경보다 해상도가 4배 ... ...
[과학뉴스] 두 살배기 입속 구강미생물로 비만 예측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대한 후벽균류의 비율이 높고 미생물 조성이 단조로운 것으로 알려져있다. 마코바
교수
는 “어린이는 장내미생물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비만의 지표로 여겨지는 미생물 조성이 장보다는 구강에서 나타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리포트’ 9월 19일자에 실렸다. doi:10.1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