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서초 수학박물관 수학은 어디에서 최초로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그저 화려한 예술작품처럼 보였다. 하지만 알고 보니 이 현판에는 왕자가 살아 있을 당시 가지고 있던 재물, 즉 산양 1000마리와 소 1000마리, 너비가 100 큐빗★인 직물 1000개 등이 적혀 있었다. 수학 유물 전시 보며 수학 체험고대 유물을 자세히 관찰하고 또 직접 점토판을 만들면서 수학의 탄생과 ... ...
- [지식] 전기 신호로 심장을 다시 뛰게 하다!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생각보다 더디게 진행됐다. 하지만 그는 조바심내지 않았다.회로를 완성한 뒤, 저항기를 가지고 실험을 이어갔다. 저항의 크기에 따라 장치가 어떤 자극을 만들어내는지 확인하고 싶었다. 저항의 크기를 1만 옴으로 설정하고 결과를 지켜봤는데 예상과 다른 진동이 나타났다. 이때 실험 결과는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2배로 늘어날 필요는 없다. 1.5배만 커져도 충분하다. 수도관이나 도로 같은 시설도 마찬가지다. 양은 83%, 길이는 67%만 보충하면 문제없이 2배 늘어난 시민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시의 몸무게는 인구, 도로면적, 생산량 같은 수치로 알 수 있다.몸무게를 알면 도시의 미래도 점쳐볼 수 있다. 2012년 미국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생각으로 움직이는 병기다. 조종석에는 달랑 손잡이 하나뿐이다. 간단한 움직임 몇 가지를 빼면 대부분 ‘뇌-로봇 접속기술(BMI)’로 에바를 조종한다. 1995년에는 그저 상상이었지만, 2015년에는 실제 현실이 된 기술이다.조종사와 에바를 싱크시키려면, 우선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침습형으로 ... ...
- [과학뉴스] 힘내라, 브론토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초프 연구원팀은 “브론토사우루스의 화석표본을 통해 골격 81개와 신체 특징 477가지를 분석한 결과 브론토사우루스가 독자적인 속(屬)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브론토사우루스는 몸길이가 약 35m로 목과 꼬리가 매우 긴 초식공룡이다. 1억5000만 년 전 지금의 북아메리카 지역에 살았던 것으로 ... ...
- [Life & Tech] 영어 공부에서 해방되는 그 날 올까?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음성인식, 자동번역, 의도파악, 검색, 음성합성 등 다양한 기술이 필요한데, 벌써 세 가지가 자동통역과 관련된 기술이지요. 자동통역기로 외국인과 언어 장벽 없이 대화할 수 있다면 아이언맨의 자비스도 한층 가까워집니다. 자동통역을 하루 빨리 실현해야 할 이유입니다 ... ...
- [생활] 어벤져스 vs인공지능 울트론 인류 생존을 건 전쟁의 승자는?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들면 빵과 어울리는 흰 우유를 떠올리고 우유를 짜내는 젖소를 떠올릴 수 있다.이와 마찬가지로 상상력 기계는 뽀로로를 보면서 특정 등장인물이나 사물, 배경과 함께 나오는 단어 데이터를 저장했다. 빈도수가 높으면 기억으로 저장하고, 빈도수가 적으면 사람이 기억을 잊듯이 데이터를 지웠다. ... ...
- [Knowledge] 당신도 전설이 될 수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좋다.투수와의 궁합은 팀보다 더 중요하다. 타자의 스윙 궤적은 저마다 매우 다르다. 마찬가지로 공을 던지는 투수의 팔 각도도 천차만별이다. 남녀가 자신의 짝을 찾아 만나듯이, 타자에게는 자신의 스윙과 잘 맞는 투수가 있는 법이다. 어떤 타자들이 지난 2년간 운명의 상대를 찾는 데 성공했을까. ... ...
- [Life & Tech] 100년을 속인 가짜 혀 지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신맛은 부패를 경고하지요. 최낙언 이사는 “쓴맛의 수용체는 무려 25가지인데 우리는 한 가지 맛으로 느낀다”며 “쓰면 먹지 말고 무조건 뱉으라는 의미”라고 말합니다. 인류가 쓴나물과 신김치 등을 즐길 수 있게 된 것은 오랜 시행착오를 거쳐 안전한 쓴맛과 신맛을 찾아냈기 때문이지요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원추세포를 2종류밖에 갖고 있지 않다. 이에 비하면 사람은 시각이 좋은 편이다. 총 100만 가지 이상의 색을 분리해낼 수 있다.그러나 새는 여기서 한 단계 더 나갔다. 새의 망막에는 빨강, 파랑, 초록빛 외에도 자외선을 흡수하는 광수용기가 한 종류 더 있다. 지난해 12월 11일자 ‘사이언스’에 실린 ... ...
이전337338339340341342343344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