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식자에 따라 행동 바꾸는 개구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때 개구리의 반응을 관찰했다. 그 결과 텅가라개구리는 뱀이 접근하면 뒤로 돌아 도망가지만, 하늘에서 박쥐가 다가오면 오히려 박쥐 쪽으로 점프해 먼저 다가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박쥐의 비행경로에서 벗어나 자신을 지나쳐 날아가게 하려는 목적”이라며 “피식자의 도망 경로를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7800만km 떨어진 화성보다, 최대 깊이 11km에 불과한 해저에 대해 아는 게 더 없습니다. 이 세가지 이유 때문에 바다로 가야 하는 것 아닐까요."기자가 태안을 떠난 뒤, 연구팀은 바지선을 마도에 더 가까운 곳으로 옮겼다. 수심이 더 깊고 유속이 더 빠른 지역에서 실험을 하기 위해서였다. 전 실장은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나오는 텔레비전 요리 프로그램의 전성시대다. 냉장고를 열어 눈에 띈 재료 몇 가지로 뚝딱 근사한 요리를 만들어내는 장면을 보면 신기하다못해 신성한 기분이 들 정도다. 그런데 유명인의 냉장고에서 꺼낸 식재료를 가만히 보다 보면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고기 등 기본적인 농축산물을 ...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개발하고 있습니다. 친환경적이고 가벼운 소재로요.Q 친환경 이차전지의 재료는.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생체 내 에너지 대사물질을 이용해 전극소재를 만들었습니다. 호흡할 때 필요한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FAD, 이하 플라빈)라는 물질입니다. 플라빈은 전자를 주고 ... ...
- 다섯 번째 요리 치명적인 매력, E=mc²과 복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m) 그리고 빛의 속도(c)가 그 주인공이죠. 원자에서 블랙홀까지 어떤 물리현상도 이 세 가지 개념 없이는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E=mc²의 진짜 매력은 우주가 어떻게 태어났고 살아가는지 알려 준다는 점입니다. 에너지와 질량, 그리고 빛이 어떻게 등호 하나로 엮이는지 이해하면 우주를 이해할 수 ... ...
- 이제 나도 게임 프로그래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슈어즈를 소개했다. 토마스는 혼자서 ‘버스틴 지버’라는 두더지 잡기 게임 같은 여러 가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만들었다. 누가 가르쳐 준 것이 아니라, 학교에서 앱 개발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스스로 프로그래밍을 배웠다. 이날 참가한 독자들은 대부분 토마스의 또래였다. 동갑내기 ...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연결할 때 많이 쓰는 방식이다.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노트북들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 터치형 패드, 가볍고 얇은 동체, 외장 액세서리. 모두 90년대 노트북 제조사들의 다양한 시도의 결과다. 당장이라도 부서질 것 같은 오래된 노트북과 90년대 과학기술을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이유도 여기 ... ...
- [Hot Issue] 뇌진탕 위험으로부터 미식축구 선수를 구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있는 기준인 100G는 뇌진탕의 정확한 기준이 될 수 없다.충격이 가해질 때 머리는 크게 두 가지 가속을 받는다. 첫째는 ‘직선 가속’으로, 힘의 작용방향이 머리의 무게중심을 향할 때 생긴다. 강한 직선 가속은 두개골을 골절시킬 수 있다. 두 번째는 ‘회전 가속’이다. 회전 가속은 무게중심이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노래 짓고 그림 그리는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있었다니. 입이 쩍 벌어졌다. 덕분에 결혼을 일주일 앞두고 MR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80가지 악기 품은 프로그램사실 골드웨이브는 아마추어 음악가들에겐 꽤 유명한 프로그램이다. 음원의 속도나 높낮이, 세기를 조절할 수 있고 노래를 앞뒤로 잘라 붙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내 목소리를 직접 ... ...
- [지식] 냄새를 보는 행렬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두 행렬의 곱으로 분해하는 건 수학자들의 아이디어예요. 비음수 행렬 분해를 쓸 때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어요. 우선 곱해서 처음 행렬이 되는 두 행렬을 찾을 때, 앞 행렬의 열의 개수와 뒷 행렬의 행의 개수를 실험으로 정해야 해요. 둘째, 행렬의 열과 행의 개수가 많아지면 행렬을 곱할 때 ... ...
이전336337338339340341342343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