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뉴스
"
정확
"(으)로 총 5,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서울 지하철 공조기 고장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공조기 V 벨트 7곳과 베어링 5곳에 모델을 실제 적용해 시뮬레이션한 결과 평균 95% 이상의
정확
도를 얻었다. 연구팀은 추가적인 후속 검증 절차를 거친 후 해당 모델을 서울시 지하철 전 역사에 적용할 계획이다. 모델은 기계장비의 이상 데이터를 자동으로 감지해 알려주는 ‘기계설비 ... ...
우리은하가 심장에 ‘막대 구조’ 품은 이유 “은하단 충돌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막대 모양의 구조를 갖는 은하를 '막대나선은하'라고 한다. 우주에 비교적 흔하지만
정확
한 탄생 원리는 그 동안 밝혀지지 않았는데, 국내 연구팀이 관측을 통해 기존의 가설을 뒤집는 새로운 탄생 원리를 제시했다. 은하의 탄생과 진화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명신 서울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특정한 빛의 진동수를 기준으로 했다. 이 빛은 기존의 1초라는 시간 동안 약 92억 번(
정확
하게는 91억 9263만 1770번) 진동한다. 그러니까 이 특정한 빛이 약 92억 번 진동하는 데에 걸린 시간을 1초로 삼을 수 있다. 특정 원자의 에너지 준위 차이에서 나오는 빛의 에너지와 진동수는 양자역학의 규칙에 ... ...
"초연결軍 시대 온다는데 보안문제 앞에 한없이 작아지는 한국군"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중심전’이라는 용어를 들었다. 모든 전력을 연결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황인식을 해
정확
한 목표 설정으로 전쟁에서 승리하는 개념의 전투다. 지휘자의 신속한 의사 결정을 도와주는 목적이 있다. 박 실장은 “지휘관이 정해진 형태가 아니라 상황에 맞게 즉각 원하는 전투 형태를 구성하게 ... ...
단백질 구조와 유전자 변이 동시에 분석해 유전자 진단
정확
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유전자의 변이를 바탕으로 개인이 질병에 걸릴 확률을 예측하는 유전자 진단 기술의
정확
도를 높이는 새 기술을 개발했다. 개인 맞춤형 정밀의학기술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상욱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와 김동효 연구원팀은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의 구조 변화를 추가로 분석해, ... ...
'원자로 운영자 한 명에게만 책임 몰아가기?'…한빛1호기 끝나지 않은 의혹들
2019.06.24
원인에 대해서는 각종 모터나 전자기기에 의한 미세한 잡음 때문인 것으로 파악했지만
정확
한 원인을 찾아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오맹호 원안위 원자력안전과장은 “두가지 방법 중 하나를 활용해 측정할 수 있다”고 말했지만 붕소희석법 및 제어봉교환법은 인적오류 발생확률이 증가하는 ... ...
UNIST "백금보다 효율 높은 새 연료전지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23
높이는 쪽으로 연구개발이 많이 이뤄졌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촉매의 활성화 자리를
정확
하게 알아내 더욱 효율적인 촉매를 개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공동 제1저자인 펑리 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박사후연구원은 "이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다른 전이금속 촉매의 활성 구조를 찾는 데도 도움이 ... ...
"공기오염 해결책, 엔지니어링 아니라 과학에서 답 찾아야 "
동아사이언스
l
2019.06.23
포기하면 금방 공기는 깨끗해지지만 그렇게 할순 없기에 허심탄회하게 사실 관계를
정확
하게 얘기하며 이 문제를 어떻게 과학적으로 크게 보며 풀어나갈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미국과 영국의 사례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1943년과 1952년과 각각 미국 ... ...
사랑이 식었다는 증거
팝뉴스
l
2019.06.22
예민해진다. 내가 적게 먹는 게 싫다. 상대가 더 많이 먹으면 약이 오른다. ‘칼 같이’
정확
해졌다면 사랑이 식었다는 증거가 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 ...
[주말 고고학산책]냉동인간 ‘외치’는 왜 알프스 계곡에서 숨을 거뒀나
2019.06.22
주장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증거가 더 모이지 않는 한 앞으로도 외치가 죽은 이유를
정확
하게 알기는 힘들 겁니다. 고고학자들이 추측하는 외치의 마지막 순간은 이렇습니다. 알프스 남쪽에서 살던 사냥꾼 외치는 병에 걸려 몇 달간 심하게 앓은 후 알프스를 올랐습니다. 하지만 싸움에 휘말려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