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일 많이 하는 당신은 ‘술고래’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1월 13일자에 발표했다.여성의 경우 1주일에 알콜 농도 12%인 와인을 1
7
5ml짜리 유리잔으로
7
잔 이상 마시면 위험하다. 남성의 경우는 10.5잔 이상을 마시면 위험한 음주에 해당한다.연구진은 세계 14개국 연구진이 개별적으로 조사한 연구 결과를 동일한 기준으로 다시 분석해서 총 33만3693명의 노동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감자에 많이 들어 있는 아스파라긴이나 당이 변해서 만들어진다. 특히 감자를 1
7
0℃가 넘는 고온에서 조리할 때 생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조리하는 온도 수준(100~120℃)에서는 아크릴아마이드가 생기지 않으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다.봉지 감자칩에서도 대부분 ppm 단위보다 1000배나 적은 ppb ... ...
Part 3 엄마 핏줄이 더 당긴다?!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감수할 건지, 평소 자주 연락하는지, 사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등을 1에서
7
사이의 숫자로 점수를 매겼다. 그리고 사촌의 나이 차나 사는 거리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통계적으로 처리했다. 그 결과 이 모델과 똑같은 결과가 나왔다. 확실한 핏줄일수록 돕는다그렇다면 외가쪽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경우”라고 밝혔다. 컴퓨터과학에서 시작된 P대 NP 문제는 클레이 수학연구소가 발표한
7
개의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다. 문제의 요점은 답을 찾는 게 쉬운 경우(P)와 답이 맞는지 확인하는 게 쉬운 경우(NP)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다.일반적으로 답을 찾기 쉬우면 그 답이 맞는지 확인하기도 쉽다 ...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현생인류는 이후 10만 년 전쯤에 이스라엘을 비롯한 근동 지방까지 진출하고,
7
만~6만 년 전후에 동아시아로 확산됐다. 현생인류는 워낙 적응력이 뛰어나 다른 고인류들이 모두 절멸한 뒤 오늘날 지구의 유일한 인류 종 으로 살아남았다. 현생인류는 가장 추운 시기에 거대동 물을 사냥하기 위해 ... ...
[과학뉴스] 비만보다 운동부족이 더 문제라니까!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분석했다. 연간 사망자 920만 명 가운데 6
7
만6000명은 운동 부족과 관련이 있고 33만
7
000명은 비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 결과는 ‘미국임상영양학저널(AJCN)’ 1월 14일자에 발표됐다 ...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프로브 위성 덕분에 인류는 다채로운 과학적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국제논문(SCI)만 14
7
편에 달하지요. 가장 대표적인 성과로 2013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된 ‘세 번째 방사능 벨트 발견’을 꼽을 수 있습니다. 당시까지 방사능 외대는 하나로 알려져 있었는데, 에너지가 매우 높은 전자 영역(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물 부족량을 충당하기 위해 13억t의 물을 확보할 계획을 세웠다. 보고서는 “실제로 11억
7
000만t을 확보했으며 미래의 물부족량을 생각하면 적절하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하지만 한편 “확보된 용수는 본류 인근 지역에서만 활용이 가능하다”라고도 밝히고 있다. 다른 곳에서 가뭄이 나면 물을 ... ...
Part 1. 차세대 비행기 설계도 5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DARPA)과 항공우주국(NASA), 노스롭 그루먼사가 2대의 개량형 글로벌호크를 13.
7
km 상공에서 9m까지 근접 비행시키는 데 성공한 바 있습니다. 이착륙 때 연료를 가장 많이 먹는데… 전투기처럼 사출하는 여객기_ECO-CLIMB◀ 에어버스는 항공모함의 전투기 사출기(캐터펄트)와 유사한 전자기 모터 방식의 ... ...
[과학뉴스] 가거초의 해양생물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우리나라 남해안과 일본 중부해역에서만 볼 수 있다.서남해의 끝 가거도 앞바다 수심
7
.8m 지점에는 대형 수중암초인 가거초가 있다. 서해 냉수와 남해 온수가 섞이는 이곳에는 연산호와 갯민숭달팽이 등 다채로운 해양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가거초에 설치한 해양과학기지의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