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허리케인이 만든 음악을 들어보세요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노엘이 본격적으로 허리케인으로 분류된 11월 2일 자정부터 소멸된 11월 5일 오후 7시까지의 정보를 아래와 같이 그래프로 나타냈다.“저는 바구니의 수평 요소를 가로축, 수직 요소를 세로축이라고 생각하고, 함수처럼 각 요소에 특정 변수를 부여했어요. 예를 들어 허리케인 노엘 작품(오른쪽)의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얻는 마이크로 에너지 하베스팅 관련 특허출원이 2007년 27건에서 2013년 167건으로 최근 7년간 6배 이상 성장했다. 열전 및 압전 기술이 전체 특허출원의 88.5%를 차지하고 있다. 조병완 한양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에너지 하베스팅은 가까운 미래에 등장할 스마트시티에 꼭 필요한 기술”이라고 .. ...
- [Life & Tech] 막춤의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5분씩 하루에 3번, 4주 동안 춤을 추게 한 뒤 뇌 기능을 비교했다. 그 결과 33명 중 27명의 뇌 기능이 향상됐다. 특히 자신의 의지와 무관한 행동을 조절하는 기저핵과, 정서적인 불안감을 담당하는 변연계가 춤을 추기 전보다 활성화 됐다. 춤을 추면 오히려 차분하게 집중하는 능력이 올라간다!막춤은 ... ...
- [Knowledge] 끈 매고 뛰는 우주 런닝머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달린 것”이라고 말했는데, 바로 공감이 갔다. 물론 NASA의 우주인 수니 윌리엄스처럼 2007년 보스턴 마라톤 대회가 열릴 때 우주의 런닝머신에서 지구의 마라토너와 똑같이 42.195km를 완주한 사람도 있지만…. 다행히 화성에서는 체중의 20%에 해당하는 힘으로 당겨주기만 해도 지구에서 달릴 때와 같은 ... ...
- [과학뉴스] 스페이스 X, 로켓재활용 첫 시도 X과학동아 l2015년 02호
- 0km 상공에서 상부와 분리된 뒤 시속 4600km로 추락하는데, 이때 엔진을 가동해 속도를 시속 7.2km까지 줄이는 게 관건이었다.스페이스X사는 1월 10일 발사한 로켓에서 1단을 분리해 착륙대로 이끄는 것은 성공했지만, 너무 강하게 떨어져 부서졌다고 밝혔다. 스페이스X의 CEO인 엘론 머스크는 “유압식 ... ...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15~21m에서 처음 발견됐을 때, 남아 있는 배 아랫 부분(저판)의 크기는 길이 10.8m, 너비 3.7m였어요. 바다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선박 중에 가장 큰 규모였지요. 이 배는 발견된 해역의 이름을 따 ‘마도 1호선’이라고 이름지어졌어요. 당시 배의 저판과 함께 800여 점의 도자기를 비롯해 약 50kg의 석탄, ... ...
- [수학뉴스] 수학 시험 잘 보려면 푹 자자!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잔다는 것은 수면 시간 중 깊은 잠을 잔 시간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연구팀은 7살에서 11살짜리 어린이 75명을 대상으로 5주 동안 잠이 들고 깨는 주기를 기록해 얼마나 잘 잤는지 알아봤습니다. 그리고 이 수치를 어린이의 학교 성적과 비교했지요.그 결과 잠을 제대로 잔 어린이일수록 ... ...
- [창의] 2화 붉은 벽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2호
- 표정으로 고개를 끄덕였다. 찬이는 떨리는 마음으로 붉은 벽에 마주 섰다. 조심스레 ‘7’에 해당하는 벽돌을 눌렀다. ‘끄응’ 있는 힘껏 힘을 주자 ‘드드득’ 벽돌이 앞으로 쑥 밀려 들어갔다. 나머지 벽돌도 차례로 밀어 넣었다. 마침내 ‘11’에 해당하는 벽돌이 ‘딱’하고 들어간 순간, ... ...
- PART 3. 빙하시대의 거대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살았 다. 흔히 생각하는 것과 달리 매머드 계 통에서는 아담한 축에 속해서 어깨 높이 2.7m에 몸무게 4~6t에 불과(?)했다. 크 기는 작았지만, 대신 추위에 적응한 독 특한 몸이 발달해 빙하시대를 견뎠다. 2cm의 두꺼운 피부와 8cm에 달하는 피 하지방, 그리고 긴 털이다. 특히 거칠고 긴 바깥쪽 털은 지름이 ... ...
- [과학뉴스] ‘재능’에 대한 고정관념 여성 과학자 진출 막는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비율은 19%로, 남성의 4분의 1수준에 불과했다. 높은 직책을 의미하는 보직자 비율은 7%로 더 낮다. 상대적으로 여성의 사회 참여가 활발한 서구도 여전히 여성보다는 남성 과학기술인의 비율이 높다. 왜 그럴까.물론 가장 큰 이유는 ‘유리천장’이라고 불리는 보이지 않는 사회적 차별이다. 하지만 ... ...
이전335336337338339340341342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