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질병은 적인가 동지인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정책을 포기했을까. 영국 정부는 백신 접종에는 매우 많은 비용이 들어가며 백신 접종 이후 항체가 형성될 때까지 또 감염될 수 있다는 과학적이면서도 경제적인 이유를 댔다. 세계동물보건기구도 이 논리를 인정한 셈이다. 그런데 영국 정부의 논리 이면에는 빅토리아시대부터 이어진 가축 ... ...
- Part 1. 왜 이렇게 떠들썩하나과학동아 l2014년 04호
- 93년 이미 노벨상을 받았다. 그러나 직접적인 증거는 아직 찾지 못했다. 과학자들은 2015년 이후에나 새로운 기술을 통해 발견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품고 있었다. 하지만 희망뿐이었다. 급팽창이론 역시 직접 증거를 발견하지 못해 우주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늘 찜찜한 상태였다. 그런데 이번 ... ...
- Part 3. 잡음없이 깨끗한 중력파를 발견하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한 가지 방법을 생각해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최초의 빛, 즉 빅뱅 38만 년 이후의 첫 우주배경복사에서 그 전의 흔적을 찾을 수 없을까. 그것이 바로 급팽창 과정에서 나온 중력파였다. 우주배경복사에는 중력파의 흔적인 B-모드가 남아 있을 수 있었다. 슬슬 어려워진다. 이것들을 이해하려면 먼저 ... ...
- “최고 과학자들과 협력하는 것이 돈 버는 비결”과학동아 l2014년 04호
- 2004년부터는 좋은 수학, 과학 교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에도 힘을 쏟고 있다. 2009년 은퇴 이후에는 재단 일을 직접 챙기며 주로 기초과학 연구를 후원하고 있다. 그는 최근 7년간 뉴욕 스토니브룩대 수학과와 물리학과에 1800억 원이 넘는 돈을 발전기금으로 내놓았다. 또 딸이 앓고 있는 자폐증의 ...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2차 세계대전을 일으켰다. 아베 일본 총리 역시 비슷하다. 일본의 장기 불황, 도호쿠 지진 이후에 나타난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을 외부 탓으로 돌리면서, 군비를 강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도자의 노선에 반대하는 여론이 형성되기 힘들다. 마치 전쟁 준비를 하듯 지도자 뒤에 줄을 서게 된다. ... ...
- 넥타이를 매는 방법은 몇 가지나 될까?수학동아 l2014년 03호
- 시계 반대 방향, 아래에서 위로 넣기 등으로 세분화해 총 2,046개의 유형을 찾아냈다. 이후 매듭의 위치, 개수나 모양 등의 추가적인 요소를 더해 매듭을 생성해 주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입한 결과 총 17만 7147가지의 넥타이 매는 방법을 찾아낼 수 있었다. 이는 한 사람이 매일 넥타이를 매는 방법을 ...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수학동아 l2014년 03호
- 됐다.인공지능이라는 말은 1956년에 미국의 수학자 존 매카시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이후 많은 학자들이 인공지능을 연구하면서 튜링보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의 조건을 제시했다. 그 가운데 한 가지가 바로 ‘하노이 탑’ 문제다.하노이 탑은 프랑스 수학자 에두아르 루카가 1883년에 발표한 퍼즐로, ...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새끼들의 성비도 불균형해졌다. 공룡은 알의 온도에 따라 성이 결정되는데, 운석 충돌 이후 겨울이 추워져서 거의 다 수컷이 됐다(거북의 알도 주변 온도에 따라 성별이 결정된다). 알을 돌보지 않던 종들은 지구에서 점점 사라졌다. 그래서 조반류인 프시타코사우루스의 자손을 비롯해 몇몇 ... ...
- 사라지고 있는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네안데르탈의 피가 섞였다는 사실은 2010년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을 해독한 이후 정설이 됐다. 그런데 최근 현대인의 유전체를 분석해 그 안에 흩어져 있는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찾고, 게놈 일부를 재조합한 연구가 화제다.미국 하버드대 의대 데이비드 라이히 교수팀은 개인 게놈 프로젝트인 ‘100 ...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3호
- 것이다. 더불어 건축물이나 예술작품에 황금비를 의도적으로 사용한 것은 19세기 중반 이후로, 그 이전의 작품은 함부로 황금비를 따른다고 말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기하학에 좌표를 처음 도입한 사람은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르네 데카르트다. 그 덕분에 함수를 손쉽게 그래프로 그릴 ... ...
이전336337338339340341342343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