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생생한 화질 경쟁, 수학으로 앞서 간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표시하는데, 처음에는 검은색을 나타내는 전자총만을 사용해서 화면이 흑백이었다. 이후 빨간색과 녹색, 파란색을 쏘는 전자총이 더해지면서 화면을 컬러로 구성할 수 있게 됐다.하지만 이 같은 아날로그 방식은 화질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아날로그 방식에서는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의 ... ...
- 첨단과학무기의 산실! 국방과학연구소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있는 곳이다. 이곳에는 현재 실전에서 활용되고 있는 각종 무기뿐만 아니라, 한국전쟁 이후부터 사용되었던 무기들이 전시되어 있어서 변천사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었다.과학관을 둘러보던 독자기자들은 먼저 K30 장갑차 축소모형 앞에서 멈춰섰다. 장갑차는 차체에 강철판을 덧씌운 전투용 차량을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살아 남아 지구의 식생을 다양화했습니다.대멸종을 겪은 생태계는 빠르게 변했습니다. 이후 1000만 년 간 지구 기온은 점차 상승해 울창한 열대 우림이 퍼졌고, 꽃식물은 더 화려한 꽃과 열매를 만들었습니다. 곤충이 모여들었고 그 곤충을 먹으려는 포유동물이 뒤를 이었습니다. 어느새 나무 ... ...
- 나무 아파트, 몇 층까지 지어봤니?과학동아 l2014년 04호
- Insurance Building)은 세계 최초의 고층빌딩이자 철근과 콘크리트를 사용한 최초의 건물이다. 이후 철근과 콘크리트 조합은 고층빌딩의 ‘공식’이 됐다. ‘그레이트 빌더’의 저자 케네스 파월은 “강철과 콘크리트가 고층빌딩의 등장을 가능케 했다”고 썼다.그런데 최근 목재가 이들의 자리를 넘보고 ... ...
- ‘유망주’ 싹 자르는 투수 혹사 잔혹사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있다. 패스트볼(흔히 직구라고 부르는 공)은 8~10세 사이로 가장 먼저 배울 수 있고, 이후 체인지업, 커브볼, 너클볼, 슬라이더를 차례로 배우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 교수가 부상 위험이 크다고 언급한 포크볼은 16~18세로 스크루볼을 제외하면 가장 늦게 배우게 돼 있다. 기본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 ...
- 아기가 죽어도 슬퍼하지 않는 엄마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사회에서는 오히려 찾아보기 힘들었어요. 이 자세가 도입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이후 의사가 분만실에 들어오면서부터랍니다. 산모가 누워있으면 의사가 검사하고 처치하기에 편리하거든요.고대 이집트인의 출산을 묘사한 이집트 콤옴보의 세베크 신전 벽화에는 무릎을 꿇고 앉은 자세로 아이를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미학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이런 밀물 철학의 보편성에 대해서는 찬반 의견이 당연히 많은데, 나의 경우는 대학원 이후부터는 그런 시각으로 수학을 바라보아야 한다는 믿음이 가득한 환경에서 공부해 왔던 것 같다. 그래서 증명의 미학 역시 탁월한 이론적 배경과 떼놓고 생각하기 어려워하는 일종의 결점을 안고 수학을 하고 ... ...
- [생활] 아르키메데스가 지수 표기법을 알았더라면?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제곱에 ‘mal’, 세제곱에 ‘kab’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알콰리즈미가 썼던 mal과 kab는 이후 m과 k로 줄어들어 15세기까지 이슬람 수학자들에 의해 사용됐다.이후 1586년 네덜란드의 수학자 스테빈은 1제곱은 ‘①’, 2제곱은 ‘②’로 표시했다. 예를 들어 2×2×2+3×3은 ‘2③+3②’로 나타냈다. 그러다가 ...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새로운 방법으로 암보렐라가 가장 원시적인 꽃식물임을 밝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후 여러 학자들이 지속적으로 검증해 온 결과, 지금은 암보렐라가 가장 원시적인 식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암보렐라는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는 단성화이고, 꽃잎과 꽃받침이 거의 비슷하게 생겨 구분이 되지 ... ...
- 수성 지름이 7km나 작아졌어요!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지형은 모두 5934개.이 결과는 행성의 열역학 모델에서 후기운석대 충돌기인 약 38억 년 전 이후 수성이 5~10km줄어들었을 것이란 예상과도 잘 들어맞는다. 폴번 박사는 “40여 년 동안 풀리지 않던 이론과 실제 사이의 패러독스를 해결했다”고 평가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 ...
이전335336337338339340341342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