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4,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팩스, 동양적 발상의 첨단기기과학동아 l199606
-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감열식은 팩스의 TPH(thermal head print)란 부분에 빛에너지가 전기로 바뀔 때 열을 내는 셀(cell)이 있어 신호가 들어오면 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수 용지에 이를 기록한다.이 방식은 가격대비 성능면으로는 그런대로 쓸만 하지만, 배출구를 빠져나올 때 쪼이는 ... ...
- 2. 반입자와 반물질과학동아 l199606
- 있는 셈이다. 양성자는 수소를 이온화시키면 쉽게 얻을 수 있다. 반입자는 먼저 높은 에너지로 물체를 때리면 광자와 글루온 단계를 거쳐 입자와 반입자의 쌍이 만들어지는데, 자기장을 사용해 이를 분리한다 ... ...
- 3. 대통일장 이론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199606
- 아직도 여러 미해결의 문제들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는 것이 현재 고에너지 입자물리학의 당면과제다. 표준모형도 게이지이론이나 여기서는 대칭성이 깨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 바로 '힉스입자'다. 그런데 힉스입자의 성질을 잘 모르고 있다. 그래서 힉스입자가 어떤 ... ...
- 1. 큰돈을 작은돈으로 바꾼다.과학동아 l199606
- 관련이 깊다. 대사율은 단위시간 당 생산되는 몸 전체의 에너지를 말한다.정온동물의 에너지 생산 정도인 대사율은 동물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옆 그림에서 보면 코끼리와 쥐의 대사율은 서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 몸의 크기가 작을수록 대사율이 높고, 대사율이 높을수록 더 많은 열이 생성된다 ... ...
- 3. 날씬해지는 행동요법5과학동아 l199606
- 꼬박꼬박식사 횟수를 줄이면 오히려 비만이 되기 쉽다. 하루 활동에 필요한 영양소와 에너지를 정확히 섭취하면 식사 횟수가 1회나 2회라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다. 또 아침식사를 거르는 일을 다이어트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한끼를 거르면 다음 끼니 때 ...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과학동아 l199606
- 재현됐다. 그러나 광양자설은 옛날 입자설의 단순한 부활을 의미하지 않았다. 광자는 에너지 덩어리라는 '입자의 성질'과 진동수로 표현되는 '파동의 성질'을 모두 갖고 있다. 결국 빛은 입자이자 파동이라는 기묘한 이중성을 갖게 됐고, 입자설과 파동설의 게임은 현재까지 무승부로 역사에 ... ...
- 1. 톱쿼크 발견과학동아 l199606
- 톱쿼크를 발견한 미국의 페르미연구소에서 최근 양성자-반양성자 충돌 실험을 한 결과 에너지가 큰 영역으로의 산란이 이론적인 예측보다 더 많이 관측됐다는 발표가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쿼크가 더 작은 입자들로 구성돼 있으면 설명될 수 있다는 해석이 덧붙여 있었다. 매우 흥미진진한 결과다. ... ...
- 1. 식이요법과학동아 l199606
- 식사량으로 돌아오면 어떤 일이 생길까. 몸은 '에너지 과잉상태' 로변하고, 이 남아도는 에너지들이 체지방의 형태로 변해 살이 찌게 된다.따라서 '몇일 저녁 안먹기' '다이어트 식품만 먹기' 또는 극단적으로 '물만 먹고 단식하기' 등 평생 계속할 수 없는 방법은 피해야 한다. 실제로 이런 방법이 ... ...
- 1. 대기과학 장기 일기예보가 불가능한 이유과학동아 l199605
- 같이 마찰이 있어 결국 한점으로 수렴해가는 점끌개, 수정시계와 같이 계속적인 에너지를 공급받아 원운동을 하며 멈추지 않는 주기끌개, 그리고 비어있는 도너스모양을 하고 있는 준주기끌개가 있다.로렌츠의 이상한 끌개는 대기의 운동을 표현한 것인데, 나비의 날개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이 ... ...
- 숙식제공받고 보초선다. 수도머멕스 개미과학동아 l199605
- 식물이 한 꽃밖 꿀샘을 유지하는 데 드는 에너지는 약13cm2 넓이의 잎을 만드는 데 드는 에너지와 맞먹는다. 이 넓이는 전체 잎 면적의 1%정도 밖에 안된다. 이에 비해 초식동물에게 먹히는 잎의 면적은 훨씬 크다. 따라서 식물이 개미에게 꽃밖 꿀샘을 제공하는 것은 초식동물에게 잎을 먹히는 것보다 ... ...
이전336337338339340341342343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