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른곰팡이
푸른곰
팡이
곰팡이
곰팽이
초록
녹색
뉴스
"
푸른
"(으)로 총 377건 검색되었습니다.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톱10
2014.12.26
데 처음으로 성공해 핵융합의 실현 가능성을 한층 앞당겼다는 평가를 받았다. 강렬한
푸른
빛을 내뿜는 외계 쌍성은 4위로 꼽혔다. 이 사진은 스페인 알리칸테대 등 국제 연구팀이 지구에서 약 1만3000광년 떨어진 ‘알리칸테 1’이라는 성단을 관측하다가 촬영했다. 연구진은 이 사진이 극대거성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생존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직장의 삭막함을 부각하기 위해 도입한 것 같은 화면의
푸른
색조(촬영카메라 렌즈에 파란색 필터를 끼운 것 같다)도 계속 이어지니 무척 피로했다. “아니야. 진짜 그래.” “연구소지만 나도 회사생활 했는데 본사라도 설마 그 정도겠냐?” “야, 솔직히 넌 너무 편하게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있다. 초거대 항성 W49nr1의 상상도. 지름이 태양(오른쪽 흰 점)의 25.5배에 이르는
푸른
별이다. - MPIA 제공 이번에 보고된 W49nr1 역시 질량 범위가 태양 질량의 90배에서 250배까지 꽤 넓다. 밝기는 태양의 170만~310만 배로 표면온도는 4만~5만 도로 추정하고 있다. 별의 나이는 300만 살 이내로 보인다.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원하는 색을 얻을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라며 “퀀텀닷의 지름이 짧을수록
푸른
빛이 나오고 길수록 붉은빛이 나온다”고 말했다. ● 무독성 퀀텀닷 개발 세계 최고 수준 국내 퀀텀닷 연구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이창희 교수 등 서울대 연구진은 인체에 무해한 퀀텀닷을 개발하고 있다. ... ...
비틀스의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Across the universe)’는 이런 느낌?
2014.10.07
어두운 밤하늘. 머나먼 우주 공간에서
푸른
색 초신성이 폭발하고 있다.
푸른
빛 잔해들은 타원을 그리며 빛의 속도로 암흑을 채워나가고 있다. 쥐의 눈에서 분리한 유리체 혈관을 현미경으로 확대하자 마치 초신성 폭발의 현장과 같은 모습이 나타났다. 신비로운 생명 속에서 예술적인 아름다움을 ... ...
아프리카 원주민 같나요? 모기 발바닥 끝이랍니다
과학동아
l
2014.09.26
“우가우가”를 외쳐 볼까요. 모기의 발바닥 끝에서 아프리카 원주민의 얼굴을 만났다.
푸른
나뭇잎으로 온 얼굴을 위장한 뒤 큰 두 눈을 동그랗게 뜨고 입을 크게 벌리고 있는 모습이 씩씩하면서도 귀엽다. 원주민은 귀걸이 치장을 많이 하는데, 이 사람은 볼 옆에 뾰족한 뿔 모양의 치장으로 한껏 ... ...
음속 20배 우주쓰레기 2만3000개 피하는 법
2014.09.19
연구원들이 중앙관제실에서 우리나라 인공위성의 충돌 위험성을 확인하고 있다. 중앙의
푸른
지구 주변으로 빛나는 녹색 점들이 모두 우주 파편이다. 연구원은 자체 개발한 충돌예측 프로그램 ‘카리스마(KARISMA)’를 이용해 아리랑 2호, 3호, 5호와 정지궤도 위성 ‘천리안’의 충돌 위험성을 매일 ... ...
‘광합성의 비밀’ 드디어 밝혀지나
2014.09.17
햇빛이 내리쬐면
푸른
잎을 가진 식물은 저마다 먹거리를 장만하느라 분주해 진다. 빛을 이용해 포도당을 생산하는 이 과정은 ‘광합성’이다. 교과서에서도 나오는 아주 친숙한 용어이지만, 사실 광합성의 자세한 과정 중에는 과학자들이 아직 풀지 못한 부분이 많이 남아 있다. 남원우 ... ...
냄비 속 만두는 왜 뱅뱅 돌까?
2014.09.14
책이다.
푸른
지식 제공 ●코스믹코믹 : 빅뱅을 발견한 사람들 (아메데오 발비 著,
푸른
지식 刊) 우주 탄생을 설명하는 ‘빅뱅 이론’이 탄생하는 과정을 담은 만화책이 나왔다. 만화책이라고 해서 무시할 수 없는 것이 모든 내용을 사실을 바탕으로 쓴 논픽션 만화책이다. 게다가 저자는 ... ...
식물끼리 대화, 어떻게 하나 봤더니
2014.08.15
나눈다. 단, 대화의 수단은 화학물질이다. 가령 한 식물이 곤충의 공격을 받으면 ‘
푸른
잎성분’이라는 휘발성 물질을 분비해 동료 식물에게 위험을 알리는 식이다. 최근 한국인 과학자 김건준 씨가 논문 1저자로 참여한 미국 버지니아공대 연구진은 식물이 사용하는 언어로 화학물질 외에 또 다른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