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뉴스
"
전류
"(으)로 총 81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독한 사냥꾼' 전기뱀장어도 무리 지어 협력 사냥
연합뉴스
l
2021.01.15
협력 사냥을 하는 무리가 서로 친족 관계인지, 무리 내 서열이 있는지, 낮은 전압의
전류
를 이용해 의사소통을 하는지 등을 연구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볼타 전기뱀장어 10마리를 포획해 독일의 특수시설에서 생태 연구를 병행할 계획이다. ... ...
[소재의 미래]⑼ 고압 송전선 감시, 소재에서 돌파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3
대안으로 주목받는 것이 전선 주위에 만들어지는 자기장에서 에너지를 얻는 전략이다.
전류
가 흐르는 도체는 자기장이 발생한다. 자기장은 인체에 해롭거나 전자기기 오작동을 일으켜 줄여야 할 대상으로 여겨지나 에너지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문제는 선로에서 나오는 자기장이 작아 ... ...
수소 생산량 늘리는 따개비 닮은 촉매
2021.01.11
수소 중 97% 는 화석연료를 태워 생산돼 청정에너지로 부르기 어렵다. 물 분자(H₂O)에
전류
를 흘려 수소(H₂)와 산소(O₂)로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은 전력 생산 과정이 청정하다면 친환경 수소 생산법으로 꼽힌다. 물을 전기분해하면 산소발생반응과 수소발생반응이 동시에 ... ...
토종 코로나19 백신부터 토종 우주로켓 발사까지…올해 한국 과학의 기대주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마련하고 있다. 전기자동차 판매가 늘면서 급속충전기 보급도 늘었지만, 전압이나
전류
규격은 업체마다 제각각이다. 가령 테슬라의 전기자동차는 480V 배터리를 쓴다. 현대자동차는 조만간 800V급 초급속충전기를 설치한다. 이형규 표준연 전기자기표준그룹장은 “1000V, 500mA(밀리암페어)까지 측정할 ... ...
배터리 필요 없고 더 민감한 자외선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물질을 센서에 이용했다. 자외선을 흡수하면 발생하는
전류
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외부
전류
없이 자외선을 측정할 수 있다. 연구팀은 자외선에 강한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를 찾아내 보호막도 없앴다. 박 교수는 “유기물은 보통 자외선에 분해돼 사라지는데 실수로 오존 램프에 넣어둔 ... ...
[소재의 미래]⑺그래핀과 실리콘반도체의 경계에서 돌파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증폭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 교수는 “빛을 쪼여줬더니 광반응성이 특이하게 높고 암
전류
는 낮다는 점을 발견했다”며 “이는 소모 전력이 적음에도 불구 적은 빛에도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홍덕선 제공 연구팀은 이런 현상을 이용해 전기는 적게 먹고 감도는 높은 광센서를 ... ...
[랩큐멘터리]인간을 대신해 반도체 집적도 해결할 이상적인 설계자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요구한다. 하지만 집적도를 높이기 위해 소자를 작게 만들면 고질적인 발열 문제와 누설
전류
문제가 발생하고 공정도 어려워진다. ‘반도체의 집적도가 2년에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이 계속 통용되려면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강석형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교수가 ... ...
수학이 공장서 불량품 찾는 시간 7분의 1로 단축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이뤄진 데이터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나사, 베어링 같은 금속 제품의 경우 진동수나
전류
량으로 데이터를 만든다. 지능형 공장은 불량품이 발견되면 생산을 일시적으로 멈추기 때문에 불량품 데이터를 얻기 어렵다. 이런 이유로 기업에서는 생산된 제품의 데이터로 새로 만든 제품이 불량인지 ... ...
[소재의 미래]⑸전 세계 전기 자동차가 선택한 궁극의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양극재가 중요하다. 선 교수는 “현재 쓰이는 양극재는 g당 1시간 동안 흐르는
전류
량이 200mAh(밀리암페어아워), 음극재는 g당 360mAh 정도다”라며 “음극재보다 양극재의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가 이뤄진다”고 말했다. 양극재는 음극재에 비해 훨씬 까다롭다. 싸고 구하기 쉬운 ... ...
복잡한 반도체 공정, 빛으로 간단하게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전류
를 흐르게 하고, p형 반도체는 전자가 부족해 생긴 빈자리인 ‘정공’이 움직여
전류
가 흐르는 반도체다. 그런데 반도체 표면에 화합물을 뿌리는 기존의 도핑 방법은 n형과 p형 반도체를 만들 때 쓰이는 화합물을 다르고 도핑 후에는 성질을 바꿀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런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