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3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감! 과학용어] ⑥커뮤니케이터들도 어찌할 수 없다...설명 부족한 용어들
2022.12.08
위치 에너지가 있는 상태에서 수용액 중의 음이온들은 (+)
전극
으로, 양이온들은 (–)
전극
으로 이동시켜 전기적 흡착에 의해 이온들을 분리하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고 말했다. 입자의 전기적 성질을 이용하는 정전선별 기술인 ’코로나방전형정전선별‘도 명확한 정의가 제시되지 않은 ... ...
뉴런처럼 동작하는 땀 센서로 장시간 질환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2.12.08
있는 방법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땀 센서는 원뿔 형태의 땀 채널(통로) 내벽에 한 쌍의
전극
이 있어 땀이 차오르고 제거되는 과정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땀이 차오르면 전기적 신호가 증가하고 땀이 제거되면 전기적 신호가 줄어드는 과정이 반복되며 스파이크 형태의 신호를 ... ...
그린수소 생산 '세라믹 전지' 상용화 돌파구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20
전해질의 치밀화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다양한 모델실험을 실시한 결과
전극
에서 생성되는 중간상으로부터 미량의 소결조제 물질이 소결체의 밀도를 향상시키거나 소결온도를 낮추기 위해 의도적으로 소량 첨가하는 기능성 물질이 기화돼 전해질로 공급됨으로써 전해질의 소결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75년 전 개발 ‘트랜지스터’가 가져온 혁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1.20
구조의 특성을 분석하는 실험에서 시작된 트랜지스터는 다양한 응용과학의 씨앗이 됐다.
전극
장치가 신호를 증폭하고 진공관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면서다. 이후 개발된 집적 회로는 반도체 칩당 트랜지스터 개수를 지속적으로 늘렸다. 트랜지스터당 필요한 비용과 전력 사용량을 ... ...
"전기자극으로 척수손상 치료"…재활 과정 세포 수준에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1
데 성공했다는 성과다. 올해 2월에는 하반신이 완전이 마비된 환자 3명의 척수에
전극
을 이식해 다시 걷고 자전거를 탈 수 있을 정도로 회복시킨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발표하기도 했다. EES는 원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개발된 치료법인데 일련의 연구 결과를 통해 손상된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왜곡 신호 없는 전자전도 정량적 추출 방법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8
제거하는 연구는 영상화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에 개발한 방법론이
전극
내 전자 전도 채널을 강화하는데 적용돼, 실리콘 기반 복합 음극의 고도화를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에이씨에스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앤드 인터페이시스’에 6월 2 ... ...
약물 투여, 뇌 신호 실시간 측정...'브레인칩'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정밀한 투여량 조절이 가능한 초소형 펌프가 달려있다. 칩 안에는 뇌 신호 측정용
전극
도 집적돼 있어 약물에 반응하는 뇌 신호에 대한 정밀 측정이 가능하다. 무게도 약 4.6g으로 매우 가볍다. 실험실에서 본 쥐 역시 마치 모자를 쓴 듯 자유롭게 케이지를 활보하는 모습을 보였다. 브레인칩은 뇌 ... ...
물 속에서 움직이는 초소형 수상 로봇 구동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0.27
의료용 장치 등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 교수도 "하이드로젤
전극
제작 기술은 기능성 하이드로젤을 보다 쉽게 전자소재화할 수 있는 기술로 다양한 차세대 소재연구에 도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머릿속 상상으로 작동하는 로봇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4
의미다. 하지만 뇌에
전극
을 깊게 심으면 뇌에 손상이 갈 수도 있다. 연구팀은 뇌에
전극
을 꽂으면서도 큰 손상이 가지 않을 만한 위치인 ‘대뇌피질’에 주목했다. 장상진 박사과정 연구원은 “신경세포체가 모여 있는 대뇌피질은 어느 정도 정확한 상상 뇌 신호를 파악할 수 있는 적정한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이산화탄소 에틸렌 전환과정 중 양이온 영향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2.10.05
생산 속도가 실제로도 비례함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극
주변 전기이중층 내 양이온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전극
-전해질 계면 제어 기술을 추가로 확보했으며 고성능 에틸렌 생산에 성공했다.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