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동등
무차별
평준
평등
세균
균류
뉴스
"
균
"(으)로 총 396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염, 위궤양 주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비밀 열쇠 찾았다
2015.08.16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 Yutaka Tsutsumi(위키피디아) 제공 제공 위염과 위궤양은 물론 위암까지 일으킬 수 있는 세
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한국 성인 ... 이를 이용하면 몸에 유익한 활동을 하는
균
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헬리코박터
균
만 골라 없앨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역할을 했을 것이다. 한편 장내유익
균
이 장내 공간을 미리 선점해 몸에 해로운
균
이 들어왔을 때 공동방어에 나서는 것처럼 식물내생생물도 감염으로부터 식물체를 지킨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화합물을 만들어내는데 그 가운데 몇몇은 의약품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항암제 ... ...
그들의 기괴한 열정과 실험을 찬양하라
2015.07.12
노릇을 하며 물질과 생명의 순환을 책임지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곰팡이를 ‘
균
물(菌物)’이라 부르며 식물, 동물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지구 생태계 구성원으로 대접한다고 한다. 저자는 그간 우리가 가져왔던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하나씩 펼치며 곰팡이를 바로 알도록 흥미롭고 ... ...
[전북]비브리오패혈증
균
, 전북서 2015년 첫 검출
동아일보
l
2015.07.08
바닷물 온도가 영상 18도 이상에서 활성도가 높아지며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세
균
이다. 해수와 갯벌, 어패류에서 주로 검출되며 치사율이 50%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원 관계자는 “패혈증을 예방하려면 6∼9월에는 어패류의 생식 섭취를 피하고 어패류를 요리한 칼과 도마 등을 ... ...
탄저
균
만큼 위험한 야토
균
손쉽게 검출
2015.07.02
동시에 운반할 수 있다. 즉 검사과정이 간단해져 10배 이상 낮은 농도에서도 야토
균
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기존에는 여러 개의 병원체가 섞여 있으면 농도가 높은 한 가지 병원체만을 검출할 수 있었지만, 이번에 개발된 검출법을 이용하면 모든 병원체를 한번에 검출할 수 있다. ... ...
[광화문에서/윤신영]은유로서의 질병
동아일보
l
2015.07.01
무장해 다시 돌아왔다. 다른 항생제를 썼더니 아예 여러 항생제에 견디는 다제내성
균
이 됐다. 속편마다 강해져서 돌아오는 터미네이터도 아니고 왜 이러는 걸까. 질병에 대한 ‘무력’ 경쟁은 옳지 않다는 은근한 은유가 아닐까. 윤신영 과학동아 편집장 ashilla@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 ...
식중독의 계절… 냉장고 너무 믿지 마!
동아일보
l
2015.06.29
한다. 큰 덩어리를 얼려놓고 필요할 때마다 해동해 썰어내는 과정을 반복하면 식중독
균
이 활성화될 우려가 있다. 또 이 과정에서 육즙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맛도 떨어진다. 이보인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냉동식품을 살 때 포장 내부에 서리나 얼음 덩어리가 있으면 냉동·해동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무해하지만 백혈병 환자들에게는 중증의 폐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황색포도상구
균
이 비강에 감염돼도 세 사람 가운데 한 명에서는 아무 증상도 생기지 않는다. 필자들은 오늘날에도 많은 연구가 여전히 환원론적 접근법을 고수하고 있다고 말한다. 즉 미생물학자들은 미생물을 변수로 숙주는 ... ...
메르스 치사율, 한 자리 숫자일 듯
2015.06.01
콧물이 줄줄 흘렀다고 한다. 요도염이 있는 HIV(에이즈바이러스) 보
균
자는 그렇지 않은 보
균
자에 비해 요도에서 검출되는 바이러스의 농도가 8배 더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또 환경도 주요한 요인으로 사람들이 모여 있거나 위생 상태가 안 좋으면 본의 아니게 수퍼감염자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 ...
때 이른 폭염, 감기 조심하세요!
동아일보
l
2015.06.01
호소하기도 한다. 또 에어컨의 바람을 타고 전파돼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는 레지오넬라
균
등에 의한 폐렴도 주의해야 한다. 고열, 오한 등 증상을 보일 수 있으나 건강한 사람은 감기처럼 지나갈 수 있다. 그러나 어린이와 노약자의 경우는 폐렴 등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2주에 한 번 이상 에어컨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