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뉴스
"
구별
"(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너무 좋았다. 일설에 따르면 1킬로미터 밖에서 동전이 500원짜리인지 100원짜리인지를
구별
할 수 있을 정도였다나. 믿거나 말거나이긴 하지만 아무튼 시력이 무척이나 좋았던 것은 사실이었던 모양이다. 시력도 좋았지만 브라헤는 끈질기고 집요하게, 그리고 꼼꼼하게 밤하늘을 관측했다. 또한 ... ...
美 트럼프 행정부 "미국서 살려면 DNA 내라" 과학자들 거센 비판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들 때 거절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롤프스 교수는 "DNA 정보는 개인을
구별
하는 데 매우 정확하기 때문에 오히려 이런 특성이 무고한 사람을 용의자로 판단하는 실수를 일어나게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가령 구조대원이 피해자를 옮기는 동안 피해자의 DNA가 묻고, 이후 제3자를 ... ...
불필요한 갑상선암 수술 줄일 새 검사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8
교수는 "미세침흡인세포검사만으로는 이 혹이 암인지 양성종양인지 정확하게
구별
할 수 없다"며 "환자 5명 중 1명꼴로 부정확한 결과가 나온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68명 환자를 대상으로 FNA를 한 결과 3분의 1이 암인지 아닌지 알 수 없었다. 연구팀은 FNA로 채취한 조직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 ...
행성사냥꾼 테스, 블랙홀이 별 국수가락 뽑듯 빨아들이는 장면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19.09.27
교란으로 발생하는 빛과 별의 폭발인 초신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빛은 처음 관측할 땐
구별
이 어렵다. 조석 교란은 초신성과 달리 빛의 밝기가 일정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관찰하면 둘을 구분해 낼 수 있다. 이번엔 테스가 사건을 미리 지켜보고 있어 구분이 가능했다. 테스는 ‘섹터’라 ... ...
'종의 기원' 쓴 찰스 다윈도 진로 때문에 고민했다는데
2019.09.12
‘원인’이 흘깃 보이는 곳이었다. 예컨대 거대 거북의 등껍질 형태는 맨눈으로도
구별
이 가능할 정도로 섬마다 서로 달랐다. 또한 전체적으로는 비슷하지만 부리 모양이 조금씩 다른 새들이 섬 주위에 여기저기 서식하고 있었다. 그는 궁금했다. ‘왜 이런 넓지 않은 공간에 이런 식의 다양성이 ... ...
'정규직 전환하면 뭐하나'…비정규직 출신 연구자에게 주홍글씨 새긴 출연연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반발하는 기존 정규직 직원들을 무마하기 위해 징규직으로 전환된 비정규직 직원들을
구별
하는 직함을 쓰게 하는 것이다. 이를 두고 일부 출연연 관계자들 사이에선 정규직 전환자에겐 사실상 '낙인'이나 다름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비록 직함에 불과하지만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자와 기존 정규직 ... ...
아·태지역 혁신 제약사에 한미·대웅 등 국내 21개社 올라
동아사이언스
l
2019.09.02
이상 의약품을 발표한 기업을 대형제약사로, 10개 미만 제품을 낸 기업을 중소제약사로
구별
하고 혁신 역량을 평가했다. 신약 개발 초기 파트너십 활동과 신약개발, 성숙도를 주요 평가 지표로 적용했다. 클래리베이트 측은 이런 결과를 토대로 41개 가장 혁신적인 대형제약사와 100개 가장 혁신적인 ... ...
인공 전자피부도 찔리면 “아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빠른 0.001초 만에 신호를 전달한다. 물체의 딱딱한 정도와 같은 질감의 차이도 0.01초 안에
구별
한다. 티 교수는 올 2월에 방수 기능을 지니고 상처가 나도 스스로 봉합되는 전자피부를 개발해 ‘네이처 전자공학’에 발표하는 등 이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촉각 센서 개발이 활발하다. ... ...
미세한 질감차
구별
하는 인공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최창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융합연구부 선임연구원과 천성우 성균관대 화학공학 및 고분자공학과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사람처럼 섬세한 감각을 느끼는 인공피부를 개발했다. DGIST 제공 사람의 피부의 구조와 유사하고 섬세한 질감을 감지하는 촉각 센서가 개발됐다. 대구경북과 ... ...
모기 소리 줄어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활용할 때는 수컷 모기만 풀어야 한다. 성별로 번데기의 크기가 달라 암컷과 수컷을
구별
하는 것은 가능하다. 하지만 일일이 손으로 암컷 번데기를 제거하는 방법밖에 없다. 연구팀은 볼바키아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방사선 기법을 추가했다. 지금까지는 방사선을 쬐여 불임으로 만드는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