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DNA"(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확인은 수사의 범위를 좁혀주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된다”며 “시료가 매우 적고, DNA가 파괴돼 기존에는 국적조차 확인하기 어려운 유해에 대해 적어도 미국인인지 한국인인지는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현재까지 남한 지역의 대략적인 동위원소 지도를 구축했고, 이를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멈춥니다. 그 이후에 새롭게 만들어지는 세포에는 BrdU가 들어가지 않고 세포가 직접 만든 DNA 염기가 들어가게 됩니다. 결국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일수록 BrdU를 빨리 잃고, 느리게 분열하는 세포일수록 BrdU를 세포 안에 지니고 있을 확률이 높아집니다(위 그림). 연구자들은 BrdU 표시를 통해 느리게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같은 원소는 볼링공에 비유할 수 있다”며 “크기가 큰 중입자로 DNA를 직접 친다면 DNA가 다시 복구될 수 없을 정도로 산산조각 난다”고 설명했다. 중입자는 암세포가 위치한 지점에서 방사선량이 최고에 이르는 만큼 치료 과정에서 주변 정상세포에 피해를 거의 입히지 않는다. 또 암세포로 발전할 ... ...
- [Issue] 라돈 침대 왜 위험한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다시 알파선을 방출하면서 또 다른 원소로 바뀐다는 사실이다. 알파선은 폐 세포의 DNA를 망가뜨리고, 폐암을 일으키는 주원인이 된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센터(IARC)는 2009년 라돈이 전 세계 폐암 발병 원인의 최대 14%를 차지한다는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같은 해 영국 공중보건국(PHE ...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수 있는 마커를 여러 개 사용했다. 소렐 박사는 또 “BrdU는 새로 합성된 DNA뿐 아니라 DNA의 일부를 고치는 과정 중에도 섞여 들어갈 수 있다”며 “BrdU의 존재만으로 새로운 뉴런이라고 단언하기 힘들다”고 설명했다.하지만 이 연구결과가 신경세포 생성에서 정설로 인정받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달걀에서 공룡을 탄생시키는 실험은 이뤄지지 않았다. 물론, 손상되지 않은 완벽한 공룡 DNA를 찾는 일도 거의 불가능하다. [옥에 티 2] 벨로시랩터의 피부가 털 없이 매끈하다 ‘비주얼’에서 영화와 실제가 가장 다른 공룡은 벨로시랩터다. 영화에서는 몸길이 약 2~3m에 파충류처럼 생긴 머리, 털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갑자기 바뀌지 않습니다. 이처럼 세포가 선택한 분화 방향을 잘 따라가는 데는 DNA 메틸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후성 유전학과 발달 생물학이 긴밀한 연결 고리를 갖고 있는 셈입니다. 최영은_yc709@georgetown.edu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재생생물학으로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점”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염색체 14개에 들어있는 월계화의 DNA 정보를 82개의 큰 조각으로 분류해 정리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연구는 조각 수가 약 8만3000개였다. 지도에 비유하자면 14개의 섬으로 이뤄진 지역의 부분 지도를 8만 장 갖고있는 셈이다. 8만 장의 지도로 섬의 특정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있다. 이성희 교수는 “수 천 개의 유전자 마커에서 원하는 형질을 이용한 분자육종은 DNA 기술과 정보를 이용할 뿐 유전자변형작물(GMO)은 아니다”라며 “미국에서는 유전자 가위 등 최신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한 품종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홉 없어도 맥주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생산할 수 있도록 효모의 유전자를 조작했다. 이 성분이 다량 포함된 민트와 바질의 DNA를 효모에 주입해 직접 풍미를 낼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이렇게 조작한 효모로 맥주를 만들어 40명을 대상으로 블라인드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연구진의 맥주가 기존 맥주보다 풍미 면에서 더 높은 점수를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