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DNA"(으)로 총 1,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배설물에서 DNA를 찾아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사육하는 동물의 똥을 정기적으로 수거해 호르몬을 찾기도 해요. 호르몬은 단백질이라서 DNA보다 훨씬 더 좋은 상태로 얻을 수 있거든요. 이렇게 얻은 호르몬 농도로 암컷의 호르몬 주기를 추적해 수컷과의 짝짓기 날짜를 정한답니다. 냄새나고 더러운 배설물이지만 과학자들에겐 동물을 연구하는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영롱하게 빛나는 초록 갑옷, 비단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비단벌레와 모양이 비슷해 서로 같은 종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러다 2012년, 농촌진흥청은 DNA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에 사는 비단벌레가 한반도 고유종이라고 밝혔어요. 이 비단벌레의 학명은 크리소코로아 코리아나(Chrysochroa coreana), 영어 이름은 ‘Korean jewel beetle’이랍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둘러싸인 기관이 없는 생물이에요. 우리가 아는 세균이 여기에 속하죠. 핵막이 없어 DNA가 세포 안을 둥둥 떠다닌답니다. 칸막이가 없어서 양말과 속옷이 여기저기 뒤섞인 서랍을 상상하면 될 거예요. 이후 원핵생물에서 진화하여 막을 갖춘 세포소기관을 가진 생물이 등장했어요. 바로 ... ...
- [과학뉴스] 달팽이에게 기억 이식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훈련을 받지 않은 달팽이의 RNA를 이식 받은 경우에는 아무런 반응이 없었답니다. ● RNA : DNA가 가지고 있는 유전정보를 단백질로 합성할 수 있도록 전달해 주는 물질.연구를 이끈 데이비드 글랜즈먼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기억이 RNA에 저장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군소갯민숭달팽이와 ...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숨을 쉴 때 호흡기를 타고 체내로 들어가 폐에 붙은 채로 알파선을 방출하면서 폐 세포의 DNA를 망가뜨리거나 폐암을 유발하는 등 해를 끼칠 수 있다. 최근에는 생리대와 온수매트에서도 라돈이 검출됐다는 주장이 제기돼 라돈 파문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07 학회 빙자한 ‘부실학회’ 올해 ...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암세포가 ‘끊임없이’ 분열한다는 특징에 착안해 세포 분열 과정을 억제하거나 DNA에 손상을 주는 물질을 이용해 화학적 항암 치료법을 개발했다. 하지만 이런 항암 물질은 골수나 모근 세포와 같은 정상 세포까지 구분 없이 제거해 흔히 항암 치료의 부작용으로 알려진 백혈구 감소, 탈모 등과 같은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공신’의 과학교과 공부 비법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머릿속에서 상상해 시각화합니다. 또 이와 관련된 영상을 찾아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DNA 복제에 대해 공부한다 면, 수업시간에는 교과서 속 글과 그림으로 공부하고 혼자 공부할 때는 효소가 어떻게 움직이고 복제가 어떻게 일어 나는지 머릿속으로 그려봅니다. 만약 머릿속에 잘 안 그려 지면 ... ...
- [과학뉴스] ‘조상 찾기 서비스’로 범인 잡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변화인 단일염기다형성(SNP)을 통해 개인의 특징을 식별한다. 연구팀은 872명의 범죄수사 DNA 데이터와 조상 찾기 서비스의 게놈 데이터를 비교했다. 그 결과 두 데이터가 90~99%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에 참여한 김재희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친족 확인도 30% 이상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힘을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근육 단백질인 액틴과 미오신 같은 분자 모터의 힘이나, DNA 등 유기체의 기계적인 특성을 연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동일 분야 연구자가 먼저 노벨상 수상하지만 이렇게 우수한 성과를 냈던 애슈킨 연구원에게도 쓰라린 경험이 있었다. 운명의 장난인지 이 역시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나타난 것이 아니다. 2009년에는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 업적이, 2015년에는 DNA 복구 메커니즘 연구 업적이 화학상을 수상했다. 실제로 노벨상위원회가 공개한 1901~2014년 수상자의 주요 연구 분야 분류를 보면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에 공통적으로 생화학이 기재될 만큼 수상 범위가 겹친다.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