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
조직망
시스템
제도
이론
학설
주의
d라이브러리
"
체계
"(으)로 총 2,658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모두 잠재력을 발휘해서 발사체처럼 높이 솟아오르기를 기대합니다. 발사체추진기관
체계
팀 백승환 박사 A1 발사시퀀스를 만들어 작동시켰을 때의 일이에요. 우리는 발사시퀀스가 시작된 이후 어떤 지점에서 멈추도록 설정했어요. 그러나 시퀀스 프로그램은 멈추지 않았지요. 마치 신호등에 빨간 ... ...
Part 3. 3시간 만에 뉴욕으로 초음속 비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이야~. 현대의 비행기를 타면 10시간 만에 서울에서 미국까지 갈 수 있다고?! 정말 놀랍군! 그런데 이 속도로도 아직 만족할 수 없어서 소리보다 더 빠르게 나는 비행기를 만들고 있다고?! 소닉붐을 극복하라 흔히 엄청나게 빠른 비행기를 ‘초음속 비행기’라고 해요. 초음속은 소리가 전파되는 ... ...
Part 1. 라이트 형제의 첫 비행 115주년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비행기의 날개와 몸체를 조종하는 장치를 만들었어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기
체계
부 구삼옥 책임연구원은 “라이트 형제는 비행기의 균형을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종 기술을 처음으로 알아내고 익혔다”면서 “이 기술은 훗날 비행기가 발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 ...
Part 4. 기사가 필요 없다 자율비행 택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4호
그런데 아까 내가 봤던 비행기는 좀 특이하게 생겼어. 동그란 몸체 위에 프로펠러가 4개나 달려 있었지. 무엇보다 놀란 건 운전하는 사람이 없다는 거야. 조종사도 없는데 나를 발견하곤 다른 길로 피해가더라고~. 내 위치를 어떻게 안 거지? 드론 택시 시대가 오고 있다! 지난 2017년 9월, 독일의 드 ... ...
Part 1.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돼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색깔, 질감, 흠집을 일일이 살피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거든요. 코이케는 “분류
체계
를 배우는 데 몇 달이 걸린 데다 새로운 사람을 고용하기도 어려웠다”고 토로했어요. 그러다 2016년 인공지능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을 본 코이케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오이 분류기를 ... ...
노벨 생리의학상, 암 정복의 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인정받았답니다. 우리 몸은 외부에서 바이러스가 침입하는 등 이상 상황이 생기면 면역
체계
를 작동시켜요. 이때 ‘항원제시세포(APC)’는 침입자의 정체를 가장 먼저 알아채고 ‘T세포’라는 면역세포에게 알려주지요. 그러면 T세포는 감염된 세포를 직접 죽여서 침입자를 제거한답니다. T세포는 ... ...
노후 다리, 최첨단 기술로 관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노후 시설물을 그대로 두다간 정말 큰일이 벌어질 수도 있겠군. 그야말로 도시에 다이너마이트를 품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야. 노후 시 ... 시간이 지날수록 노후 시설물 문제는 더 자주 발생할 거예요. 따라서 데이터를 토대로
체계
적으로 관리하는 일이 중요하답니다. 다리를 점검하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거대 로봇 대결 창시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4호
메가봇과 대결할 또 다른 로봇 제작자 레이 한은 동양에서 사용했던 별자리
체계
인 ‘28수’에 영향을 받아 로봇을 만들고 있어요. 28개 별자리는 저마다 원숭이, 용 등 다양한 동물을 상징하기 때문에 총 28개 로봇을 만들 계획이지요. 다가올 대결에 어떤 로봇을 내보낼지는 아직 밝히지 않았답니다 ... ...
우리는 돌고래 추적자들입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한다는 점 또한 연구비를 지원받는 데 걸림돌이 된다. 기존의 실험실 위주의 연구비 지원
체계
에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필자를 포함한 연구팀은 2013년부터 제주 앞바다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 연구를 진행해 오면서 이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그리고 연구를 지속할 새로운 동력으로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향후에는 자체 대량번식
체계
도 구축할 계획이다. 김 센터장은 “자체 대량번식
체계
를 구축하면 앞으로 영장류 자원을 더욱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며 “2022년에는 50마리를, 2025년에는 국내 수요의 50%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현재까지는 연구용 영장류를 번식시키는 것과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