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체계"(으)로 총 2,658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아리탐방] 동아리계 VIP를 꿈꾼다! 포항제철고 Math V.I.P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수학 모형을 만들어 경북교육감상도 받았다. 이렇게 많은 활동을 할 수 있는 비결은 체계적인 운영과 팀워크다. 회사에서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담당하는 일별로 팀을 나눠놓은 것처럼 각 활동을 전담할 부서를 만들어 동아리 구성원을 각 부서에 배치했다. 활동은 다 같이 하지만, 주도적으로 ... ...
-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 내용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쏠리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미 응시자가 적어 불안정한 점수 체계를 가지고 있는 과탐Ⅱ 과목이 선택과목에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문제가 심화될 수 있다. 물론 각 대학/학과에서는 관련 과목을 선택한 학생에게 가산점을 부여하는 등의 방안을 활용해 이러한 문제를 ... ...
- [오일러 프로젝트] 동전으로 2파운드를 만드는 경우의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하면서 1파운드를 240펜스가 아닌 100펜스로 바꾼 결과다. 영국에서는 화폐에 10진법 체계를 도입한 1971년 2월 15일을 ‘10진법의 날’로 부른다. 이후 1실링의 가치는 5펜스로 바뀌었고, 자연스럽게 이전부터 사용되던 5펜스와 10펜스 동전이 1, 2실링을 대체하게 됐다. 화폐 개혁 후에도 과거에 발행된 ... ...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α’라고 쓰든 ‘一’이라고 쓰든 똑같을 것 같지만, 직접 계산해보면 고대 숫자 체계로는 복잡한 연산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금방 알 수 있다. 기호 자체뿐 아니라 자릿수를 표기하는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었기 때문이다. 산가지를 가진 동양 수학은 2000년간 훨씬 빨리 발전했고, ... ...
- Part 2. 변신 2 - 사람을 살린다! 의료용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몸에 알파 갈락토스가 붙은 세포가 들어오면 우리 몸은 이를 침입자로 생각해 면역 체계를 매우 활발하게 만들거든요. 그러면 혈관에 면역세포가 과도하게 많아지고, 혈액 세포들이 엉겨 붙은 혈전이 생기면서 혈관이 막히는 부작용이 생긴답니다. 이에 2015년 5월,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조셉 텍터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얼음, 북극의 열을 내리려면’이라는 제목으로 제출한 그의 논술은 극지와 기후변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한 씨는 “서울대 인재상에 맞춰서 다양한 활동을 했고, 이를 하나의 스토리로 엮어서 자기소개서를 쓴 게 합격에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한 씨는 ...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으로 푸는 놀이와 퍼즐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섞는 이유는 당연히 카드 순서를 무작위하게 만들려는 목적입니다. 그러나 너무 완벽히, 체계적으로 섞어 버리면 결과가 무작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마술사들은 이 점을 이용해 술수를 부리죠. 카드 한 벌을 같은 양의 둘로 나눈 뒤, 양쪽에서 하나씩 교대로 엇갈리게 섞습니다. 이때 반으로 ... ...
- Part 3. 3시간 만에 뉴욕으로 초음속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이야~. 현대의 비행기를 타면 10시간 만에 서울에서 미국까지 갈 수 있다고?! 정말 놀랍군! 그런데 이 속도로도 아직 만족할 수 없어서 소리보다 더 빠르게 나는 비행기를 만들고 있다고?! 소닉붐을 극복하라 흔히 엄청나게 빠른 비행기를 ‘초음속 비행기’라고 해요. 초음속은 소리가 전파되는 ... ...
- Part 5. 하늘에 교통체증이? 정리가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항공기체계부 전대근 책임연구원은 “현재는 하늘길을 만들기에 앞서 필요한 체계와 개념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는 단계”라면서 “앞으로 SF 영화처럼 길과 신호를 만들면, 안전하고 빠르게 하늘길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115년이라는 시간 동안 비행기가 이렇게 많이 ... ...
- Intro. 라이트 형제도 깜짝 놀란 드론 택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안녕, 친구들! 난 오빌 라이트라고 해. 1903년 세계 최초로 동력 비행에 성공한 라이트 형제 중 동생이지. 12월 17일, 115주년을 맞아 소환됐는데…. 으악! 그런데 저게 뭐야? 희한하게 생긴 기계가 날고 있잖아. 115년 동안 엄청나게 많은 일이 벌어진 게 분명하군! 어떻게 된 일인지 직접 알아봐야겠어.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