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지"(으)로 총 1,335건 검색되었습니다.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내장돼 있어 척추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다. 카메라 개발은 국내 반도체기업인 ‘인지’가 담당했는데, 초광각 렌즈인 어안렌즈를 활용해 시야각을 140도까지 확보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기존 카메라(70도)에 비해 두 배가량 시야를 확대한 것이다. 이로써 훨씬 더 넓은 범위의 환부를 확인하면서 ... ...
- [과학뉴스] 어린이 화재 대피, 화재경보기보다 엄마 목소리가 효과적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모두 잠든 야간에 발생하는 화재는 큰 피해를 일으킨다. 특히 인지 및 대응 능력이 약한 어린이와 노약자의 경우 그 피해가 더 심하다. 화재 시 시끄러운 소리를 내는 화재경보기조차 이들을 쉽게 밖으로 대피시키지 못한다. 마크 스플레인가드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의대 임상소아과 교수팀은 화재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훈련을 통해 영장류의 눈 주변에서 서로 구별되는 특징을 찾고, 흉터와 상처 자국 등을 인지해 동물을 파악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의 테스트 결과, 프라임넷은 여우원숭이는 93.75%, 황금원숭이는 90.6%, 침팬지는 75.82%의 정확도로 개체를 식별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을 ‘프라임ID(primID ... ...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하다못해 이 라틴방진의 성질이라도 적어놓았다면 증거가 될 텐데 말이에요. 우연의 일치인지 아니면 진짜로 아벨 군을 알았는지 앞으로 최석정의 라틴방진을 더 연구해 그 증거를 찾을 예정입니다 ... ...
- [롤링수톤] 머릿속 맴도는 수능금지곡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음악 심리학과 교수는 적당히 어려운 일을 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뇌 인지기능을 활성화하면 머릿속에서 맴도는 노래의 영향력을 줄일 수 있다고 가정하고 실험한 결과 단어를 뒤집는 게임 인 ‘아나그램’을 하거나 가로와 세로가 모두 9칸으로 나눠진 격자 판 각 줄에 숫자1~9를 하나씩만 ... ...
- 윌리 웡카의 초코초코 퀴즈 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케이크, 둘 다 멀쩡하면 첫 번째 케이크에 약이 들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어떤 원리인지 감이 오나요? 비법은 바로 2진수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케이크 4개를 시식할 때는 각 케이크에 00, 01, 10, 11의 2진수를 부여하고 첫 번째 자릿수에 1이 있을 땐 A가 먹고 두 번째 자릿수에 1이 있을 땐 B가 먹는 ...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해주는 인텔리전트 카메라 기능을 꼽을 수 있다. 카메라의 움직임에 따라 즉시 피사체를 인지해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다. 갤럭시S9의 ‘AR 이모지’, 아이폰의 ‘미모지(Memoji)’ 기능처럼 자신을 닮은 아바타를 자동으로 생성해 얼굴 표정을 추적하고 이모지로 활용하는 것도 NPU와 카메라 기능이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있다. 여러 가지 빛에 사람의 눈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사람마다 색을 어떻게 다르게 인지하는지, LED 조명이 신체 리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 해외에서는 관련 연구가 날마다 쏟아져 나온다. 이 책임연구원팀은 국내 기관들과 공동으로 한국의 독자적인 시감효능 연구를 진행할 계획을 세우고 ...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팩트체크2. '리만 가설'은 소수 찾는 공식이다? ‘리만 가설’이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지는 몰라도 ‘소수와 관련 있다’는 건 다들 알고 있을 거예요. 그 런데 이 점 때문에 리만 가설을 증명하면 소수를 순 서대로 찾는 법을 알 수 있다고 오해하는 사람도 있어요. 리만 가설은 소수 구하는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원하는 인재상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 사람들이 원하는 게 무엇 인지 파악하고 미래를 조망하려면 인문학적인 소양과 공감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산업공학과는 공대 내 다른 학과보다 들어야 하는 필수 교양 과목이 많다. 글쓰기의 기초, 말하기와 토론, 과학과 기술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