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족관
물새
수금
유리 상자
손톱
조갑
절개
d라이브러리
"
수조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50~1백마리의 암컷을 거느리는 물개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사육·번식시킨 것은 최근의 일이다. 넓은 대양을 마음대로 헤엄치던 물개를 조그만
수조
(水槽)에 가두어 놓는 것 자체가 그들의 생리에 맞을 리 없다. 그런 환경에서 번식하기를 기다린다는 것은 지나친 바램이 아닐 수 없다.사료 역시 사육·번식의 애로점이다. 아무리 싱싱한 생선을 구해 준다 ... ...
연체동물이 뿌리는 먹물의 용도는?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어두운 색소가 분출됐다.곧 이어 연구팀은 '느림보'의 천적으로 알려진 말미잘을
수조
에 넣은 뒤 관찰을 계속했다. 말미잘이 '느림보'를 3분의 1쯤 삼켰을 때도 먹물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절반쯤 삼키자 '느림보'의 몸에서 먹물이 분출되기 시작했다 "이때의 먹물은 방어용이 아니라 ... ...
Ⅴ 식물호르몬─생로병사의 열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세포분열 없이도 엄청나게 신장하는데 관다발조직을
수조
직 위에 올려 놓았더니
수조
직에서도 세포분열이 일어났다. 이는 곧 하버란트의 결과를 입증하는 확실한 증거가 된다.그들은 세포분열을 촉진하는 물질을 찾으려는 시도를 계속했다. 마침내 냉장고에 보관해 둔 청어 정자로부터 추출한 ... ...
우주의 형성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실험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수백만의 미립자 대신에 여기서는 수십억,
수조
개의 미립자들을 다루는 것이 좋다. 그리고 나아가서 그 프로그램을 조사, 가설이 타당했음을 확실히 증명해야 할 것이다.다른 천문학자들도 보다 크고 어쩌면 보다 타당한 모형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 ...
반도체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양적 질적으로 잇달아 성과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80년대 반도체 초창기에는 수천억
수조
원이 소요되는 엄청난 투자에도 불구하고 그 성패가 불분명하다는 측면에서 많은 논란이 있었다. 미국과 일본이 양분하고 있는 세계반도체시장은 유럽국가들도 투자를 꺼리는 터여서 우리나라가 ... ...
바람의 과학 그 천태만상의 해부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바깥쪽에서 상승하고 안쪽에서 하강하는 대류운동을 한다.
수조
를 느리게 회전시키면
수조
의 벽과 평행하게 회전하는 것 같지만 중심으로 흘러 들어갔다 나오는 나선운동을 한다. 이는 저위도에서의 해들리순환과 같다. 회전속도를 높이면 원운동이 빨라지다가 어느 값을 넘으면 원운동에 부서지며 ... ...
97%가 잘못 사용 이런 안경은 눈을 나쁘게 한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109페이지의 사진은 그 산소투과능력을 실험하기 위해 콘택트렌즈와 같은 수지로 만든
수조
이다. 완전히 밀폐하고 난 뒤에도 산소가 어느 정도 투과하여 그 속에 있던 송사리가 장기간 활동했음을 실험한 것이다.그리고 콘택트렌즈로는 이중초점의 노안이나 수정체난시 교정이 어렵다고 생각되어 ... ...
잠수함 만드는데 매혹 조선공학 개척에 평생을 바치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공학박사의 학위를 받았다. 이 논문은 내가 미국에서 보고 돌아와서 만든 선박모형시험
수조
에서 우리나라 객선을 가지고 실험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여러가지 여건이 좋았더라면 미국에서 얻을 수 있었던 학위를 뒤늦게 고국에서 얻은 터이지만 후회할 것 없는 값진 영광이었다. 더욱이 ... ...
PART 2 「제5의 힘」 존재하는가 만유인력과 상대성이론 수정 위기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제5의 힘 확인에 실패한 셈이다. 한편 미국 브룩헤븐국립연구소의 '피터 티버거'는
수조
(水槽)를 이용한 독특한 장치(그림1)로 제5의 힘 존재를 확인했다. 그는 이 실험결과를 보고한 미국의 권위있는 물리학전문지 '피지칼 리뷰 레터즈' 58호(1987년)에서 물질의 질량에 무관하고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공사가 크게 진행되기 이전과, 준공후인 1986년 11월 1987년 3월치 지의 두 겨울 동안, 주로
수조
류(오리, 기러기류와 그 밖의 물새류)를 중심으로, 그간에 나타난 변화를 검토해 보았다. 여기에 그밖의 조류, 부지 저습지의 섭금류(도요와 물떼새류)와 부지의 명금류(참새목 조류)까지 포함시킨다면 더욱 ... ...
이전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