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성
천성
실체
성질
정수
진수
근본
d라이브러리
"
본질
"(으)로 총 76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술로 풀어보는 수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그는 평면기하학과 사영기하학의 도형들을 직접 공부하면서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본질
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한지선의 작품 ‘길’은 상상속 공간의 원근감을 평면에 가까운 부조 위에 극대화했다.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포함해 르네상스 화가들은 2차원 캔버스 위에 3차원을 표현하는 ... ...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결과 생긴 할구(割球)의 수에 따라서 2세포기 4세포기 8세포기 등으로 부른다 난할은
본질
적으로 많은 체세포에서 볼 수 있는 유사(有絲)분열과 다름없다 그러나 딸세포는 원래의 세포만큼 커지기 전에 다시 분열하기 때문에 난할이 진행되면 낱낱의 세포(이것을 특히 할구라 한다)는 작아진다 난할의 ... ...
과학교사는 전문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당연한 건데 실험 장치는 왜 만드나’하는 시각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물리현상의
본질
적인 의미를 가르치기 위해선 실제로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죠. 연수 중에도 늘 실험 장치를 들고 다니며 시연하는 등 꾸준히 노력했더니 요즘은 모두 ‘물리학은 실험을 통해 가르쳐야 한다’고 인식이 ... ...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조심해야앞으로 황의 법칙은 어떤 유토피아로 데려다 줄 것인가? 황의 법칙보다 더
본질
적으로 우리를 지배하는 법칙은 열역학 제3법칙인 엔트로피의 법칙이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복잡성이나 무질서도가 늘어난다는 열역학 제3법칙은 황의 법칙으로 발생하는 사회의 변화가 언제나 ‘향상’일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따라 승패가 갈리는 것은 땅따먹기와 똑같다. 그런데 보로노이 게임에는 땅따먹기와
본질
적으로 다른 비밀이 숨어있다고 한다. 도대체 뭘까.보로노이(Voronoi)는 1908년에 사망한 우크라이나의 수학자다. 보로노이 게임은 그의 이름을 딴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해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주의 깊게 관찰하더라도, 지각이 잘못됐음을 알더라도 계속 잘못된 채로 지각되는
본질
적인 현상인 것이다.착시는 우리 뇌가 눈에 보이는 것에 대한 지식이나 생각을 감각정보에 적용하는지 보여준다. 예를 들어 우리는 대상물의 크기를 대상물이 존재하는 주위 배경과 비교해 판단한다. 즉 서로 ... ...
2 미적분 대란, 대학을 강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수원대 수학과 이상욱 교수는 “시대가 바뀌면 고교 수학도 달라질 수 있다”면서도 “
본질
적인 문제는 학생들이 수학의 원리와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오직 문제 푸는 법만 배우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대학의 학생 선발권을 강화하고 고교에서도 생각을 유도하는 학습이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대한 의식, 즉 정체감은 정신기능을 관장하는 뇌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아직 의식의
본질
이 무엇인지 모르고 그 정의조차 확실하지 않지만, 과학자들은 다양한 측면에서 의식의 문제를 풀어나가고 있다. 마음과 뇌의 관계를 연구하는 인지신경과학자, 신경심리학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 ...
6. 패션디자인 멋보다 기능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패션디자인을 선택하곤 한다. 하지만 한꺼풀 벗겨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패션 디자인의
본질
은 기능에 더 충실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특히 현대로 넘어 오면서 그런 경향은 더욱 강조되기 시작했다.삼성패션디자인연구소 김정희 과장은 ‘바지의 보급’을 그 단적인 사례로 꼽는다. 자전거가 ... ...
우주의 신비를 찾아나선 대서사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관점에서 본 인간의
본질
에 대해 주목한다. 저자에 따르면 우주를 탐사하고 지구 생명의
본질
을 알려고 노력하며 외계 생물의 존재를 확인하려고 애쓰는 것은 ‘인간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다. 칼 세이건은 1996년 눈을 감았지만 그는 우주 탐사와 외계 문명과의 만남에 대한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