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료소
의원
hospital
병원미생물
미생물
사설병원
사설
d라이브러리
"
병원
"(으)로 총 2,597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한 종의 바이러스만 분리하고 배양해 다수의 개체를 확보하면 그 바이러스의 구조나
병원
성 등의 정보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전통적으로 바이러스가 숙주로 삼는 세포를 먼저 배양한 다음, 그 위에 바이러스를 심어 증식시켰다. 과거에는 수십 일이 걸리는 과정이었지만,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인터페론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바이러스가 체내에서 치명적인
병원
성을 보이면 언제든 면역시스템을 작동할 준비가 돼 있어, 특별히 아프지 않고 바이러스와 공존할 수 있는 셈이다. 또한 박쥐는 c-Rel 유전자가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있어 이른바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실험실에서 배양했다. 바이러스가 T림프구를 파괴한다면 림프구가 풍부한 림프절에
병원
체가 존재할 것이라고 추측했다.몽타니에가 배양한 림프구는 파스퇴르연구소 동료 연구자였던 바레시누시에게 전해졌다. 바레시누시는 림프구에 역전사효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했다. 역전사효소는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지상세포(항원 제시 세포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등은 이를 소화하거나 쪼개
병원
체가 가진 항원의 일부를 세포 표면에 위치시킨다. 림프구인 T세포는 세포 표면에서 항원을 인식한 뒤 스스로 바이러스를 공격할 수 있도록 분화하고, B세포는 바이러스를 중화할 수 있는 항체를 생성한다. 그중 ... ...
[기획] Player. 수학도 속전속결! 게임하면서 배워봐!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쉽게 배우는 ‘분수 쪼개기 놀이’#분수 #맘모스 #얼음깨기 #분수계산 수동
병원
에이스인 나, 송화가 추천하는 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지. 내가 분수를 처음 배울 때 이 게임이 있었더라면 더 재미있게 배울 수 있었을 텐데, 일찍 태어나서 서럽다! 분수의 개념을 모르는 친구들도 쉽게 게임을 할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런 전략을 쓰고 있다.복사한 유전체를 단백질 껍질로 감쌌다고 해서 바이러스가 바로
병원
성을 띠는 것은 아니다. 막 완성된 바이러스는 아직 미성숙한 상태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방출된 뒤 성숙 과정을 거친다. 이 또한 바이러스가 세포를 무사히 탈출하기 위한 전략이다. 만약 숙주세포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있다. 우리 몸은 대식세포에 있는 톨 유사 수용체를 이용해 항원이 문제를 일으킬 만큼
병원
성을 띠는지 판단하고 공격 여부를 명령한다.식세포들이 작용하는 선천 면역반응만으로 특정 항원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다. 이를 완전히 제거하려면, 더 명확하고 강력하게 공격하는 림프계 세포들의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 없었다. 오직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기 때문이다. 1948년 미국 보스턴아동
병원
교수였던 존 프랭클린 엔더스와 토머스 허클 웰러 그리고 프레더릭 채프먼 로빈스 박사는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을 일으키는 멈프스바이러스를 연구하고 있었다. 그들은 닭의 양막(배아를 덮고 있는 막)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죽인다고 주장하던 과학자들은 메치니코프의 성과를 평가절하했다. 식세포가 죽은
병원
체를 처리하는 청소부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메치니코프가 콜레라균에 감염된 기니피그 복강에서 식세포와 살아있는 균이 동시에 존재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그의 이론은 학계에서 인정을 받게 됐다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파스퇴르연구소에서 일하던 보르데는 한 가지 업적을 더 남겼다. 당시 면역학자들은
병원
체 침투 시 일어나는 면역반응을 연구하기 위해 박테리아(세균)를 배양했다. 박테리아는 빠르게 번식하는 생명체이기 때문에 그 양을 조절하기가 어려웠다. 면역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항원의 양을 정확히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