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료소
의원
hospital
병원미생물
미생물
사설병원
사설
d라이브러리
"
병원
"(으)로 총 2,59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Player. 수학도 속전속결! 게임하면서 배워봐!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쉽게 배우는 ‘분수 쪼개기 놀이’#분수 #맘모스 #얼음깨기 #분수계산 수동
병원
에이스인 나, 송화가 추천하는 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지. 내가 분수를 처음 배울 때 이 게임이 있었더라면 더 재미있게 배울 수 있었을 텐데, 일찍 태어나서 서럽다! 분수의 개념을 모르는 친구들도 쉽게 게임을 할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도 있다.광견병바이러스는 발병하면 치사율이 100%에 이르고 대부분 포유류에서
병원
성을 나타내는 무시무시한 바이러스이지만, 감염된 뒤 짧으면 3~9주, 길면 6개월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한다. 따라서 광견병바이러스에 감염돼도 전구증상이 보일 때 백신을 맞으면 발병을 막을 수도 ... ...
대식세포...바이러스 전쟁의 지휘관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있다. 우리 몸은 대식세포에 있는 톨 유사 수용체를 이용해 항원이 문제를 일으킬 만큼
병원
성을 띠는지 판단하고 공격 여부를 명령한다.식세포들이 작용하는 선천 면역반응만으로 특정 항원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다. 이를 완전히 제거하려면, 더 명확하고 강력하게 공격하는 림프계 세포들의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항체를 형성해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독감 예방을 위해 맞는 백신이 바로 이런 원리다.
병원
성을 낮춘 항원을 몸에 주입해 미리 기억 T림프구와 기억 B림프구가 생성되도록 돕는 것이다.그렇다면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와 같은 항원이 아니라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정상세포가 암세포가 돼 우리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지상세포(항원 제시 세포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등은 이를 소화하거나 쪼개
병원
체가 가진 항원의 일부를 세포 표면에 위치시킨다. 림프구인 T세포는 세포 표면에서 항원을 인식한 뒤 스스로 바이러스를 공격할 수 있도록 분화하고, B세포는 바이러스를 중화할 수 있는 항체를 생성한다. 그중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때문에 부작용에 대한 걱정을 완전히 지울 수는 없다.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통해
병원
성을 회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단백질은 그 자체로 항원의 역할을 하면서도 다른 숙주로 감염되거나 증식하지 않는다. 유일한 예외는 광우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프리온(prion) 단백질뿐이다. 다만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백신처럼 활용한 셈이다. 이런 방법은 현대 생물학의 관점으로 보면 위험천만한 일이다.
병원
성이 온전한 바이러스를 체내에 접종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두법으로 천연두를 예방하려다 되려 천연두에 걸려 사망한 사례도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처럼 오랜 백신 개발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인터페론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바이러스가 체내에서 치명적인
병원
성을 보이면 언제든 면역시스템을 작동할 준비가 돼 있어, 특별히 아프지 않고 바이러스와 공존할 수 있는 셈이다. 또한 박쥐는 c-Rel 유전자가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있어 이른바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런 전략을 쓰고 있다.복사한 유전체를 단백질 껍질로 감쌌다고 해서 바이러스가 바로
병원
성을 띠는 것은 아니다. 막 완성된 바이러스는 아직 미성숙한 상태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방출된 뒤 성숙 과정을 거친다. 이 또한 바이러스가 세포를 무사히 탈출하기 위한 전략이다. 만약 숙주세포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실험실에서 배양했다. 바이러스가 T림프구를 파괴한다면 림프구가 풍부한 림프절에
병원
체가 존재할 것이라고 추측했다.몽타니에가 배양한 림프구는 파스퇴르연구소 동료 연구자였던 바레시누시에게 전해졌다. 바레시누시는 림프구에 역전사효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했다. 역전사효소는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