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4,653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04
- 새로운 개념의 망원경을 고안해냈다. LSST 프로젝트의 총괄책임을 맡은 미국 스탠퍼드대 물리학과의 스티븐 칸 디렉터는 e메일 인터뷰를 통해 “LSST의 가장 큰 장점은 우주를 빨리 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LSST는 15초에 한 번씩 시야각 3도, 면적으로 9.6제곱도(square degree)에 해당하는 영역을 빠르게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04
- 입자를 빔 형태로 걸러낸다. 걸러진 입자를 가속시켜 다른 물질에 쪼이면 그 물질의 물리량과 구성 물질 등을 알아낼 수 있다.입자 가속기 기술은 미래형 우주 로켓인 이온 추진 로켓에 활용할 수 있다. 이온 추진 엔진의 원리는 양이온 가속기의 원리와 동일하다. 가스형 원료를 플라스마 상태로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04
- 시리즈로 발표한 기고문을 엮은 책이다.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양자중력 등 20세기 물리학을 바꾼 거대한 혁명의 가장 매력적인 특징과 새로운 문제를 다뤘다. 현대 과학을 아예 모르는 사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교토대 과학수업’은 본격적으로 과학적 사고력을 가르치는 책이다. 벌써 6명의 ... ...
-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 “블랙홀로 전기 만들 수 있다”과학동아 l201603
- 천체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가 “미니 블랙홀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호킹 박사는 2월 2일 영국 BBC 라디오방송인 ‘리스 강의(Reith Lecture)’에 출연해 “작은 산 정도 크기의 미니 블랙홀이 있다면, 빨려들어가는 물질이 X선과 감마선을 방출해 10테라와트(TW) 가량의 에너지가 나올 ... ...
- Part 2. 중력파 ‘ 최초 발견’을 넘어과학동아 l201603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Part 2. 중력파 ‘ 최초 발견’을 넘어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나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03
- 기밀보안명령이 떨어져 있던 시점이었는데, 어디서 새어 나갔는지 애리조나대의 이론물리학자 로렌스 크라우스 교수가 자신의 트위터로 소식을 전했다. 언론 발표가 임박했을 즈음 여러 정보가 계속 새어나갔다. 심지어 구체적인 측정값까지 공개가 됐다. 실수로 e메일이 유출됐다는 이야기도 ... ...
- [Tech & Fun] 세상에서 가장 값비싼 책?과학동아 l201603
- 그 대화를 눈 앞에서 듣는 듯해 가슴이 뛴다.힉스입자가 발견되고 중력파가 검출되는 물리학의 황금시대, 기라성 같은 과학자들의 대화에 동참해 보는 건 어떨까. 강연문, 기고문, 대화문, 인터뷰 등 가지각색의 방법으로 저자들을 만날수 있다. 영국의 수학자이자, 가장 뛰어난 수학 저술가로 ... ...
-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과학동아 l201603
- 뉴스가 전세계인을 사로잡은 한 달이기도 했다. 정확히 100년 전에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물리 현상이 이론에서 실체로 거듭났다. 중력파라는, 먼우주에서 태어나 퍼져가는 시공간의 떨림을 변방의 지구인이 관측해 냈다. 이 떨림은 먼 우주를 지나며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약해졌는데, 인류는 그 ... ...
- [과학뉴스] 피지컬 리뷰 레터스 (Physical Review Letters, PRL)과학동아 l201603
- ‘사이언스’와 ‘네이처’에 버금가는 전통의 강호 학술지기 때문이다. 1958년 미국물리학회에서 처음 발간했다. 2014년 기준 피인용지수는 7.512로 영향력이 매우 큰 편이다.피지컬 리뷰 레터스는 중력파와 질긴 인연이 있다. 1936년 아인슈타인이 “중력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논문을 게재하려고 ... ...
- [과학뉴스] 달이 높게 뜨는 날, 우산 놓고 가세요과학동아 l201603
- 월리스 교수팀은 열대지방에서 달이 높게 뜨는 날 비가 적게 온다는 사실을 밝혀 ‘지구물리연구 레터스’ 1월 28일자에 발표했다. 지구에서 달의 중력을 가장 크게 받는 곳은 달과 정면으로 마주보는 지표면이다. 해당 지표면에 있는 사람 입장에선 보름달이 머리 위에 수직으로 높게 뜬 날이다.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