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연이 끄는 화물선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한다몇 가지 서로 다른 금속을 직렬로 접속할 때 그 양
끝
에 생기는 기전력(起電力)은 양
끝
의 두 금속을 직접 접촉하였을때의 기전력과 같다는 법칙 이탈리아의 A 볼타에 의해 발견되었다절연된 금속을 붙였다 떼면 서로 반대부호로 대전(帶電)되는데, 이런 금속을 접촉전위차의 순서에 따라 배열한 ... ...
셜록 홈즈를 인도와도 맞바꿀 수 없는 까닭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배경인 베이커 스트리트를 찾아 무작정 런던거리를 헤맸다. 또 모리아티 교수와의 격투
끝
에 홈즈가 사망했다고 쓴 ‘마지막 문제’가 발표되자 비탄에 빠져 술렁였다.‘홈지언’ ‘셜로키언’이라 불리는 이들은 셜록 홈즈를 너무 좋아해서 홈즈 이야기와 관련된 모든 것을 수집하고 연구한다. ... ...
나는 어떤 얼굴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모양가깝다 눈 사이의 거리 멀다 길고
끝
이 뾰족한 모양 코 짧은 코와 큰 콧망울 얇다 입술 두껍다 내 얼굴은 어떤 얼굴?제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습도를 재는데, 탈지한 몇 개의 모발을 묶어 한
끝
을 고정시키고 다른
끝
을 대의 한
끝
에 연결시켜 신축성을 확대시켜 습도를 읽는다 액체 속에 모세관을 세우면 관내의 액면이 관 외부의 자유표면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현상 모관현상이라고도 한다액체의 분자와 관의 재료인 물질 분자의 ... ...
암호처럼 보이는 수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절약하기 위해 10부제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10부제는 차량번호와 날짜의
끝
자리수가 일치하는 날을 기준으로 열흘에 한 번씩 차를 몰지 않는 제도다. 차량번호가 5316이라면 1월에는 언제 차를 운행할 수 없을까. 바로 6일, 16일, 26일 사흘 동안이다. 10부제에 동참해야 하는 날들은 이웃항의 ... ...
지금 화성에는 물이 흐르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인한 것이다. 바트 박사는 “화성의 협곡에서 함몰된 지형(alcove)과 홈(channel), 홈
끝
에 퇴적물이 쌓인 지형(apron)을 중심으로 달의 협곡과 비교한 결과 두 지형이 유사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화성의 협곡 역시 산사태로 생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앞으로 사진에 드러난 현상이 사실로 ... ...
마빡이는 엄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심박수와 호흡량만으로 근육의 운동강도를 정확히 평가할 수 없다”며 실험 시작과
끝
에 채취했던 혈액을 분석해 혈중젖산농도를 비교했다. 팔씨름을 할 때처럼 숨이 차지는 않아도 근육의 운동강도는 높을 수 있다.젖산은 근육을 움직이는 에너지를 만들 때 근육 속의 당이 분해되며 생성되는 ... ...
상상력으로 가득찬 동그라미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그리스어로 ‘우로보로스’(Ouroborous)는 자기 꼬리를 무는 뱀 또는 용의 문양을 가리킨다.
끝
없이 물고 물리는 원형의 고리는 세계 거의 모든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우로보로스를 통해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걸까. 우로보로스는 무한히 이어지는 시간과 공간, 완벽한 존재, 우주의 본질 등 ... ...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1000년 전 폭발한 초신성의 잔해알데바란에서 시선을 조금 위로 올려보면 황소 머리
끝
부분에 제타별이 있다. 이 별 바로 옆에는 매우 작고 희미한 성운이 하나 있는데 메시에 목록의 첫 번째에 올라있는 M1인 게성운이다. 이 성운은 프랑스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성운성단목록을 만들 동기를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이런 흡수차를 검출기로 측정해 인체의 단면을 2차원 영상으로 만들어낸다. 머리에서 발
끝
까지 어떤 부위라도 검사할 수 있다.노벨상을 안겨준 X선 기술CT촬영기술은 1972년 영국 EMI의 곳프리 하운스필드와 미국 터프츠대 앨런 코맥이 개발했다. 컴퓨터를 이용한 단층 X선 촬영기술 개발로 1979년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