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자기폭풍 밝혀낼 다섯 쌍둥이 위성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가늘고 긴 원통 속에 나사모양으로 깊은 홈을 판 축(軸)을 꽉 끼운 것이다 이 통의 한
끝
을 물 속에 넣어 인력으로 통을 회전시키면 아래쪽의 물이 나사모양을 한 홈의 빈곳을 타고 올라오므로 물을 길어올릴 수 있다 유체 속에서 정지하고 있는 물체는 주위의 유체에서 받는 압력의 합력으로서 ... ...
'외과의사 봉달희'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주머니 모양의 호흡보조 기구)를 연결해 짜주면서 폐에 공기를 불어 넣는다.이때 엠브
끝
에 호스를 연결해 산소를 추가로 공급할 수도 있다. 예전에는 엠브를 무조건 빨리 짜는 것이 능사라고 생각했지만 최근에는 분당 8~10회 천천히 짜는 것이 가장 좋다고 알려졌다.마지막 단계로 흉곽을 압박해 ... ...
생리대 변신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몸 밖으로 빼낼 수 있다.발명가는 생리혈 추출기를 사용하면 생리를 단 하루 만에
끝
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발명품은 대중의 호응을 얻지 못해 상품으로 나오지 못했다. 생리혈을 자궁에서 추출한다는 ‘황당한 발상’뒤에는 ‘여성의 고통’을 해결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었다.생리컵과 ... ...
우주로 이사가는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수 있는지를 실험했다. 2년 동안 진행될 계획이었던 바이오스피어2는 18개월 만에 실패로
끝
이 났다.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산소 농도가 줄어들고 이산화탄소가 계속 늘어나는 데다 일부 곤충만이 번식을 하는 등 생태계의 균형이 깨졌기 때문이다.화성에 대기층을 만들고 식물을 살게 해서 생태계를 ... ...
항암제 성분의 알을 낳은 유전자변형(GM) 닭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뇌우(雷雨)나 폭풍의 밤에 배의 마스트, 교회의 탑 등의 뾰족한
끝
에 나타나는 파란 불꽃 같은 빛 험한 산의 정상 가까이에 나타나는 수도 있다어떤 수의 세제곱근을 구하는 계산 개립방(開立方)이라고도 한다곰팡이의 일종인 세팔로스포륨 · 아클레모늄의 배양액에서 생산되는 ... ...
루브르 박물관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기울어지면 무게중심의 위치가 높아져 불안해 보인다.시선은 희망을 향해 뻗은 남자의 손
끝
에 다다랐다가도 어둡고 무겁게 버티고 서있는 돛대에 이르면 산산이 분산된다. 먹구름은 검은 악령처럼 온통 하늘을 뒤덮고 파도는 뗏목을 금세 삼켜버릴 듯 거칠다.주어진 사명을 착실히 따르기만 했던 ... ...
된장녀, 트랜스지방 탈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오리온은 지난달부터 트랜스지방 함량을 제품에 표시하기 시작했다. CJ는 4년간의 연구
끝
에 효소로 지방의 구조를 바꿔 트랜스지방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삼양사도 트랜스지방을 낮춘 쇼트닝과 마가린을 생산해 제과업체에 공급하고 있다.2005년 미국은 트랜스지방을 하루 2g 이하로 섭취하라고 ... ...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어휴, 오늘 따라 왜 이리 피곤하지. 일찍 자야겠어.’2015년 어느 날 40대 회사원 김진단 씨는 퇴근하면서 이런 생각에 잠긴다. 집에서 저녁을 먹고 나자 7살짜리 막내 ...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
내는 날PART4 내 몸에 꼭 맞는 ... ...
과학자도 놀란 창덕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옆에서 봤을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으로 처마가 지붕 밖으로 뻗어
끝
이 살짝 들려 있다.이런 지붕의 구조는 월대에서 말하는 사람의 목소리를 다시 월대로 반사시켜줄 뿐만 아니라 월대가 향한 마당으로 소리를 반사시켜주는 반사체 역할도 한다. 즉 인정전의 지붕은 ... ...
우주실험 임무 걱정 마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내밀었다. 그에게 우주는 인생 최대의 탐험지인 셈이다. 하지만 인공지능에 대한 탐험은
끝
나지 않았다. 그는 “우주인 선발 과정동안 꿈을 꿀 수 있어 행복했다”며 “우주실험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돌아와 무인 우주탐사선의 ‘눈’을 만들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소연_ 과학은 생활의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