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건설환경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예를 들어 도로 공사를 한다고 해볼게요. 우리나라 도로가 총 10만km예요. 수리가 필요한 곳이 한 두 군데가 아니겠죠. 수리를 하려면 교통에 관한 것도 공부해야 하고(교통공학)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계획도 세워야 하고(건설관리) 그 도로가 지어질 땅의 상태가 어떤지도 알아야 해요(지반공학).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년 06호
- 3월 네팔에서 현장조사한 결과를 이 용해 이번에 지진이 일어난 곳과 정확히 일치하는 곳 에서 지진이 발생할 것임을 예견했다.연구팀은 네팔에서 동서로 1000km에 걸쳐 있는 네 팔 주요 지진 단층을 따라 구멍을 파고 단층에 있는 목탄 조각들의 방사성 탄소 연대를 측정했다. 이것으 로 단층이 이동한 ...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오리언스의 세 가지 요소를 가장 잘 만족시키면서도, 누구나 쉽게 갈 수 있는 곳은 주변의 작은 산이다. 맑은 물이 흐르는 산 속 계곡에서 다같이 즐기는 맛있는 한 끼 식사는 잠시나마 복잡한 도시를 벗어나 목마른 원시의 삶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2003년 노르웨이와 스웨덴 연구진은 ...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지도다. 골목 구석구석까지 3D 영상으로 재현돼 있는데, 재난이 발생하면 여기에 시내 곳곳에 설치된 3300여 대의 CCTV 영상을 덧입혀 보여준다. 기상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집중호우나 침수가 예상되는 지점을 스스로 찾아 그 지역의 CCTV를 보여주기도 한다. 헬기를 띄울 수 없는 악천후나 야간에 ...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바로 위, 원자핵으로부터 벗어난 전자가 처음 도착하는 구간은 '전도밴드'라고 한다. 이곳에 있는 전자가 전기와 관련이 있는 자유전자다. 가전자밴드와 전도밴드는 겹치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하는데, 떨어져 있는 경우 그 차이를 밴드갭이라고 한다. 밴드갭은 종속된 전자가 원자를 벗어나기 위한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가야 하는 것 아닐까요."기자가 태안을 떠난 뒤, 연구팀은 바지선을 마도에 더 가까운 곳으로 옮겼다. 수심이 더 깊고 유속이 더 빠른 지역에서 실험을 하기 위해서였다. 전 실장은 통화에서 "수심 20m까지 1m 간격으로 유속과 유향(물이 흐르는 방향)을 계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크랩스터는 5월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유럽 5개국이 힘을 합쳐 만든 거대망원경으로, 2m 이하인 작은 안테나 2만 5000여 대가 곳곳에 퍼져 있어요. 전 지역을 연결한 원의 지름은 무려 1000km에 달한답니다. LOFAR는 파장이 미터(m) 단위인 긴 전파를 집중적으로 잡아내요.센티미터(cm) 길이의 파장은 남아프리카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2024년부터 ... ...
- [가상 인터뷰] 문어는 회전대칭 구조!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바꿀 수도 있고요.이동 방향을 바꿀 땐 어떻게 하나요?움직일 때 다리마다 힘이 들어가는 곳이 정해져 있습니다. 가고 싶은 방향이 정해지면 다리 8개 각각에 들어갈 힘의 크기와 방향을 계산할 수 있지요. 참, 이동 방향을 바꿀 땐 몸 방향을 바꾸지 않습니다. 반대로 몸의 방향을 바꿀 땐 이동 방향을 ...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대학 시절부터 돌 줍는 게 취미였어요. 시간이 날 때마다 전국에 신기한 돌이 있다는 곳은 다 찾아다닐 정도였으니까요.직업 덕분에 해외에 나갈 기회가 많았는데, 그때도 쉬는 날마다 돌을 구하러 다녔지요. 작은 꿈이 있다면 우리나라에서 관찰할 수 있는 광물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게 특성과 ...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비슷하다. 슈바르츠쉴트의 풀이와 같은 엄밀한 풀이가 가장 찬란하게 빛을 발하는 곳은 중력이 매우 강해서 1차 어림을 할 수 없는 경우다. 우주론이나 퀘이사가 그런 대표적인 예다. 일반상대성이론이 가장 각광을 받은 영역은 우주론이었다. 아인슈타인은 1917년에 이미 일반상대성 이론으로 우주의 ... ...
이전335336337338339340341342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