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세월호와 비슷하다(인양 전에 앞부분을 일부 잘라내서 무게와 길이가 줄긴 했다). 침몰한 곳의 수심이 108m로 깊고, 조류가 초속 1.25m로 빠른 점도 세월호가 처한 상황과 비슷하다.당시 스미트는 크레인을 쓰지 않았다. 대신 길이가 140m에 이르는 대형 바지선(➋)에 도르래 역할을 하는 유압 인양잭(➊) 2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살펴보길 잘했어! 내 섬에는 이 모든 것을 다 섞어서 만들 테야! 물 위에 떠 있는 곳에서 생활하고, 에너지 저장고도 만든 뒤 배처럼 움직이게 할 거야. 이 인공섬으로 전세계 바다를 돌아다니면서 해양 환경을 관찰하는 과학자가 될래. 친구들도 내가 만드는 ‘꿈의 섬’에 오고 ... ...
- 바다 밑에서 만난 동화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거대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지요. 파란 하늘은 푸른 빛의 바닷물과 닮았고, 숲 속 이곳 저곳을 날아다니는 새는 바다 밑을 누비는 물고기와 닮았습니다. 자연의 매력에 흠뻑 취해 걷다 잘못 들어서면, 길을 잃기 십상이라는 것도 똑같습니다. 바닷속을 헤매던 공주가 마녀의 마법에 빠져 깊은 잠에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띄는 기술인 셈이다. 좋은 곳에 쓰면 사람들의 실생활에 많은 도움을 주겠지만, 잘못된 곳에 쓰면 우리를 위협하는 기술이 될 수도 있다. 딥러닝이 빠른 속도로 인공지능 연구를 견인하는 것은 무척 반가운 일이지만, 기술 발전 그 이상으로 중요한 점을 생각해야 할 때이다. 해당 기술을 사용하려는 ...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보였다. “구더기는 어둡고 축축한 장소를 좋아해요.” 귀와 입, 겨드랑이, 상처부위 곳곳에서 구더기가 바쁘게 움직이고 있었다. 숨구멍이 있는 꼬리를 하늘로 들고, 살점에 머리를 박은 채 식사에 여념이 없었다. 진물이 흘러나왔다. 충격적인 모습에 눈을 뗄 수가 없었다. “혹시 사람 시체도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피부과, 이비인후과, 정형외과, 안과, 치과…, 거의 모든 의과학 분야에서 안 쓰는 곳이 없습니다. 레이저는 빛 중에서도 생체조직과 상호작용이 가장 잘 일어나거든요. 라식수술과 같은 시력교정수술을 할 때 레이저로 각막을 깎아 내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레이저메스라고 해서 수술용 메스 ... ...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또 뱀이 나타나면 사람들은 잡거나 내쫒아요. 제비는 포식자들을 따돌리고 안전한 곳에서 새끼를 기르기 위해 사람이 사는 집을 선택한 거예요. 우리는 우리도 모르게 제비에게 이용당하고 있는 셈이지요.이렇게 강력한 상위 포식자를 이용해 방어를 하는 예는 종종 있어요. 애니메이션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지구에서 가장 야구를 잘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은 미국의 메이저리그(MLB)다. 동양인 불모지로 여겨지던 이 땅에 코리안 특급 박찬호를 필두로 추신수, 스 ... 강정호를 영입한 이유 역시 장타력 때문이었다. 올 시즌이 끝날 때까지 한국의 파워를 미국 곳곳에 널리 알려주길 바라본다 ...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어디에 모이고 있는지 비가 얼마나 내릴지 알아낸답니다. 앗! 동남쪽으로 12km 떨어진 곳에 시커먼 먹구름이 몰려 있네요. 벌써부터 파밧파밧 전기 튀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군요. 하하하!”나는 우리가 흔히 번개에 대해 오해하고 있는 것을 먼저 취재하기로 했다.진실 1 우리가 보는 번개는 사실 ... ...
- 작은 세계와 큰 세계를 잇는 다리, 볼츠만 상수 KB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조순탁 교수다. 과천에 있는 국립과학관에는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이 있는데, 그 곳에 이름을 올린 순수 이론물리학자는 아직까지 이휘소 박사와 조교수 딱 두 명이다. 조 교수의 지도교수는 네덜란드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 게오르그 울렌벡이고, 울렌백의 지도교수는 오스트리아 태생의 네덜란드 ... ...
이전33433533633733833934034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