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뉴스
"
한계
"(으)로 총 3,815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로 바둑기사 이긴 구글 인공지능 ‘알파고’ 승리 비결은?
2016.01.28
판단되면 관련된 모든 경우의 수를 제외하는 방식으로 가능한 경우의 수를 줄여 기존의
한계
를 넘어섰다. DNN은 ‘딥 러닝’의 일종으로 바둑돌을 놓는 위치가 경기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길 가능성이 높은 수를 찾는 알고리즘으로 이뤄져 있다. 이를 이용하면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 ...
‘인공지능의 선구자’ 마빈 민스키, 그는 누구인가
2016.01.27
대해 낙관적으로 기대했지만 민스키 교수가 퍼셉트론이 학습할 수 있는 범위에
한계
가 있음을 입증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됐다. 다니엘라 러스 CSAIL 디렉터는 “민스키 교수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만들었다”며 “그가 남긴 업적과 도전은 여전히 ... ...
원자 하나까지 반응하는 ‘궁극의 촉매’ 개발
2016.01.27
기술력으로 만들 수 있는 가장 작은 입자는 2㎚(나노미터, 1㎚는 10억분의 1m) 정도가
한계
였다. 연구팀은 먼저 백금 원자가 제각각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떼낸 뒤 이를 다시 굳혀낸 ‘단일원자 촉매’를 개발했다. 모든 원자가 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궁극의 촉매 ... ...
“한국 인공위성의 성공 신화는 제 역사이기도 합니다”
2016.01.25
여기까지 왔지만 국내 인공위성 기술을 지금보다 한 단계 더 점프시키기 위해서는 분명
한계
가 있을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지금까지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던 일을 어렵게 해냈을 때 잘했다고 칭찬받기 보다는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았어요. 물론 목표를 높이 설정한 덕분에 ... ...
태양전지도 ‘gold’ 시대
2016.01.25
친환경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광전환 효율이 최고 2.3%에 불과하다는
한계
가 있다. 연구팀은 금 나노클러스터에 들어가는 최적의 입자 크기와 전해질을 연구해 금 원자 18개로 구성된 Au18(SR)14가 최적의 크기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 학계에서는 ‘아이오딘(요오드)계 ... ...
스파이더맨 발 크기 계산해보니 5.016m?
2016.01.19
몸집이 커지면서 그만큼 벽과 맞닿는 표면적의 크기도 비현실적으로 넓어져야 하는
한계
가 생기면서 벽을 기어 다니는 기능이 퇴화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개구리에 한해서는 몸집이 커짐에 따라 발바닥의 표면적이 늘어나는 대신 발바닥의 접착력이 늘어나는 경향이 ... ...
통신요금 비싼 해외에서도 대용량 사진 공유 ‘척척’
2016.01.13
문화가 보편화됐지만 반드시 인터넷이 연결돼 있어야만 사진을 주고받을 수 있다는
한계
가 있었다. 또 여러 사람이 사진을 나눠 가져야 할 경우 사진을 보내고 받을 사람을 일일이 선택하고 전송해야 하는 점도 불편했다. 연구팀은 한 그룹 안에서는 실시간으로 사진첩을 공유하는 기능을 ... ...
[Health&Brauty]보청기 구입 후 전문적인 조절-관리 필요
동아일보
l
2016.01.13
센터에 방문한다. 보청기 조절로 해결하려 하지만 여기에는 분명한
한계
가 있다. 이런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 주변 소음을 없애는 기능이나 말소리만을 확장하는 기능, 성당이나 교회와 같이 넓은 곳에서 말소리가 높은 천정이나 벽, 그리고 바닥에 반사되어 생기는 반향음을 상쇄시키는 기능, TV나 ... ...
영화 속 ‘투명인간’ 만드는 약, 현실에 등장
2016.01.11
조직을 투명화하려면 2~4주가 걸렸다. 생체 깊은 곳이 위치한 조직을 염색하기 어렵다는
한계
도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조직을 투명화하는 속도를 최대 30배 가량 크게 높였다. 쥐의 뇌를 투명화하는 데는 6시간, 쥐 신체 전부를 투명화 하는데는 12시간이 걸렸다. 또 항원-항체 반응을 ... ...
나노 크기로 ‘상상의 꽃’ 우담바라 만들었다
2016.01.11
‘상상의 꽃’으로 불리는 우담바라 모양의 나노구조체(왼쪽)와 이를 확대한 모습(오른쪽). - KAIST 제공 TV나 모니터, 스마트폰 화면 등을 만드는데 두루 쓰이는 액정 분자를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로 정밀 가공하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윤동기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