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뉴스
"
한계
"(으)로 총 3,815건 검색되었습니다.
VR로 올림픽 첫 생중계… “설원위 선수 옆에서 달리는 듯”
동아일보
l
2016.02.15
최근 주요 대형 스포츠 행사마다 VR 기술을 도입하느라 바쁘다. 경기장이라는 공간적
한계
를 넘어 더 많은 팬에게 다가가기에 VR가 최적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해 10월 미국프로농구(NBA)가 가장 먼저 삼성전자와 손잡고 기어VR를 통해 주요 경기를 VR 중계했다. 최근 미국에서 열린 슈퍼볼 ... ...
게임으로 과학 배운다는 ‘게이미피케이션’ 직접 체험해보니
2016.02.14
계속 거울만 등장해 빛의 굴절, 회절 등 빛의 다른 성질을 활용할 수 없도록 만든 점도
한계
로 느껴졌다. 연구팀이 직접 제작한 게임을 시연하고 있다. - 미국 미주리대 제공 ● 게이미피케이션의 장점은 동기 부여 국내외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꼽는 게이미피케이션의 장점은 교육에서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크기의 1000분의 1에 불과했다. 당시 검출 범위는 중성자별 병합일 경우 6500만 광년을
한계
로 봤고 이런 사건이 1년에 한 번 정도는 일어날 거라고 예상했지만 실망스럽게도 2010년에 이르도록 라이고 관측소는 중력파 검출하는데 실패했다. 그럼에도 NSF는 2008년 추가로 2억500만 달러를 배정해 ... ...
[101년 만에 중력파 검출] 전 세계가 환호한 중력파 검출, 어떤 의미 있나
2016.02.12
우주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중력파가 기존의 광학망원경과 전파망원경이 가진
한계
를 넘어선 강력한 과학적 도구가 될 수 있는 이유는 중력파가 빛과 달리 모든 물질을 통과하면서도 통과하는 물질에 의해 왜곡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중력파는 방출될 당시의 정보를 온전히 담고 있다. ... ...
여자는 남자보다 수다스러울까?
2016.02.09
정말로 그렇다고!!'라는 느낌은 맹목적으로 믿을 게 못 되는 것이다. 인간인 자신의
한계
를 알고 '아 또 고정관념에 빠질 뻔' '아 또 내 멋대로 해석할 뻔'이라며 제동을 걸 줄 아는 태도가 중요하다.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 ...
드론 6대가 ‘샤이니’와 함께 ‘칼 군무’ 출 수 있었던 까닭은…
2016.02.05
궤적을 모션캡처로 추적했다. 이 교수는 “모션캡처는 특정 파장의 빛만 사용한다는
한계
가 있는 만큼 최근에는 파장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모션캡처 장비가 개발되고 있다”고 말했다. ... ...
[시승기]기아차 올 뉴 K7, 스포츠 세단의 맛 플래그십의 멋 ‘다만 아쉽다’
동아닷컴
l
2016.02.04
성능은 과거 렉서스를 연상시킨다. 다만 역동적 디자인을 염두하고 과격하게 몰아붙이면
한계
는 예상보다 쉽게 드러난다. 엔진 라인업, 트림, 옵션 선택에 따라 다른 결과가 예상되지만 전반적으로 ‘올 뉴 K7’은 스포츠 세단의 맛과 브랜드를 대표하는 플래그십 세단에 준하는 멋을 동시에 지녔다. ... ...
‘빨주노초파남보’ 가시광선으로 수소 만들어낸다
2016.02.01
1일 밝혔다. 기존 광전극은 태양광의 약 4%에 불과한 자외선만을 사용한다는
한계
가 있었다. 때문에 태양광의 약 43%를 차지하는 가시광선 영역을 활용할 수 있는 고효율 광전극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팀은 금 박막과 전기를 유도하는 유전체인 이산화티타늄(TiO2) ... ...
은으로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정밀도 높였다
2016.02.01
않았다. 형광 표지를 붙여 빛을 조사하는 대안이 있지만 분자 본래의 특성이 변하는
한계
가 있었다. 은 나노입자를 입힌 크로마토그래피 종이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 표면의 금속 나노구조 덕분에 빛이 증폭되는 효과를 낸다. - KAIST 제공 연구팀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
지난 한 해 출연연 성과 살펴보니…미래형 선도기술 한가득
2016.01.29
전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기억장치로 쓰이는 D램의
한계
를 극복할 수 있는 스핀전자소자 상용화 기술을 개발했다. 스핀전자소자는 초고속, 초소형, 초저전력, 긴 수명 등 모든 장점을 갖춘 차세대 반도체 소자로 미래형 컴퓨터의 성능을 큰 폭으로 올려줄 것으로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