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대해서 간략히 소개했다. 세계의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 일로에 있고 이용할 수 있는
땅
의 넓이는 제한되어 있다. 앞으로 세계인이 살 수 있는 길은 더 높이, 또는 더 깊게 건물을 건설하는 것이다. 그 옛날 바벨탑 건설은 완성을 보지 못하고 중단되었으나 그 의지와 욕구는 면면히 이어 내려와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먹이의 위치를 포착한 짐나르쿠스는 정확하게 겨냥을 한 뒤 덥석 문다.5 ②비둘기가 낯선
땅
으로부터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은 두가지 능력을 초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태양을 보고 방향을 알아내는 능력과 자구의 자력선을 감지해 방향을 알아내는 능력이 그것이다. 비둘기의 눈을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거대한 함몰화구구가 형성한 나리분지는 오늘날 울릉도 특산의 천궁이 30만평
땅
을 가득 메우고 있다. 이곳에서 특징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부석(浮石). 물에도 뜰만큼 가볍다해서 뜬돌이라고도 불리는 이 화산암은 대폭발이었던 5기 분출물로서 성인봉 알봉주변에 특히 발달해 있으며 울릉도 전체에 ... ...
(1) 3백85㎏의 월석이 밝혀준 사실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지진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달의 지진강도가 지구보다 훨씬 떨어지는 이유는 진원이
땅
속 깊은 곳(표면에서 7백km 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아무튼 월진계가 알려준 사실은 달의 내부 세계도 지구와 크게 다를 것이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아폴로 15, 16호가 가져간 X선장치도 큰 ... ...
아인슈타인의 4차원을 넘어서 5차원 세계로의 초대 칼루자-클라인이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쇳덩이와 가벼운 나무토막을 동시에 떨어뜨리면 무게나 그 성분에 관계없이 동시에
땅
에 떨어진다(피사의 사탑에서의 실험). 아인슈타인은 이렇게 성분이나 구성에 상관없이 같은 궤도를 그리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그는 지구를 둘러싼 시공이 휘어져 있고 그 휘어짐을 따라서 모든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밤비가 퍼부어 먹이를 구하지 못하면 하는 수 없이 낮에 먹이를 찾아 나선다.그들은
땅
을 직접 파서 굴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잡목의 뿌리 밑부분이나 고사목 속에 보금자리를 꾸민다. 그 주변에는 마른 잎과 바위 이끼를 둥글게 깔아 안식처를 더욱 포근하게 한다.동료끼리의 교섭은 별로 없고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나오는 원리는 단열팽창이 아니라 안팎의 기압차, 즉 기압경도라고 봅니다. 아시다시피
땅
속의 공기는 사시장철 상온(0~5℃)을 유지하니까요. 여름에는 바깥보다 차고 겨울에는 바깥보다 따뜻한 공기가 나오죠.김두석 아뇨. 단열팽창입니다. 밀양 얼음골을 예로 보죠. 이곳에도 자연에어컨과 비슷한 ... ...
지구의 나이, 지금 몇 살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하자.철학자들도 이 논쟁에 오래 전부터 참여하고 있다. 그들은 가만히 앉아서 하늘과
땅
을 보고 아울러 자신들이 경험한 것을 총동원, '지구의 나이는 무한하다'는 다소 기대섞인 결론에 이르렀다.지구연령을 제일 짧게 잡은 사람은 아일랜드의 대주교 어셔였다. 그는 1654년 히브리어로 된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노고에 감사하는 정도다.좀 더 생각해 보면 그 이유가 도출된다. 중국이나 우리나라는
땅
이 비옥하고 비가 때 맞춰 내리기 때문에 벼농사가 발달했고 밀 보리도 잘되는 편이었다. 흉년이 가끔 들기는 해도 유럽과 같은 그런 혹독한 흉년이 들지는 않았다. 또 목축보다는 논 밭농사가 주였기 때문에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다윈의 주장과 상반되는 것이다.그런데 이 이론도 생물간의 간격이 커질 경우 설
땅
을 잃게 된다. 예를 들어 개와 늑대, 쥐와 생쥐 사이의 간격도 상당하지만 육지에 사는 포유동물의 조상이 어떻게 도약적인 진화를 해서 바다의 포유동물인 고래의 조상으로 변할 것인가. 더구나 연체동물의 조상이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