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신형 김양식구 만든 윤유택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육십하나였습니다. 특허사무실이 잘 돼서 돈을 꽤 벌었어요 강남 여기저기에 노른자위
땅
도 있고 집도 네 채나 됐습니다. 돈 이만큼 벌어놨으니 더 늙기 전에 우리나라를 위해 훌륭한 발명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이번에는 기차대신 바다로 눈을 돌렸다. 완도에 실험실 역할을 하는 양식장을 ... ...
4 피뢰침에서 로봇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알게 된 사람은 그리스의 마그네스라는 양치기다. 그가 철로 된 지팡이를 갖고 있으면
땅
에 굴러다니고 있는 검은 돌 조각이 붙는 것을 알았다. 이 검은 돌은 마그네톤이라 불리는 철광석의 일종이었다. 엘리자베스 1세의 의사였던 윌리엄 길버트는 자기의 기본법칙 몇가지를 통합해 지구 그 자체가 ... ...
별자리, 왜 계절에 따라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몇가지 천문학 용어를 반드시 익혀야 한다. 먼저 지평선과 천정에 관해 알아보자. 천구가
땅
과 만난 선을 우리는 지평선이라고 부른다. 물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말하는 지평선과 똑같은 것이다. 천구상에서 관측자의 바로 머리 위의 점을 천정이라고 한다. 천정과 지평선이 (그림1)의 천구에 그려져 ... ...
하나가 천이 되는 씨앗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사막이 늘어나고, 열대의 밀림이 파괴되고, 자원은 고갈되고, 물과 공기가 오염되고,
땅
에도 바다에도 폐기물과 쓰레기가 쌓인다면 미래의 사람들은 꼼짝없이 종말을 맞게 될는지도 모른다.오늘날의 환경문제는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의 문제가 되어 버렸다. 어느 누구도 남의 일이라고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땅
의 아름다움에 뒤질세라 곳곳에 피어난 별꽃들의 아름다움은 눈꽃들과 어울려 하늘과
땅
의 멋진 조화를 만들어 낸다. 꽃이 피지 않는 겨울, 자연이 만들어낸 또다른 꽃들의 세계에서 우리는 대자연의 신비를 느낀다.살을 에는 듯한 늦추위지만 밤하늘 별꽃들의 모습에선 따스한 온기마저 ... ...
한반도 자연과 밀접한 관계 드러낸 중국동북지방의 식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한 단편으로 유전자 손실에 대한 학자들의 경고인 것이다. 그렇다면 중국 동북지방
땅
의 원식생(과거) 현재식생(현재) 잠재자연식생(미래)은 과연 무엇일까? 대신식생과 2차식생이 발달중국 동북지방의 원식생은 잣나무 종비나무 분비나무 등의 바늘잎나무(침엽수)와 피나무 중국동북지방자작나무 ... ...
내일의 우주인 꿈키워주는 일본 「스페이스 캠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문을 연 것은 작년 4월. 신일본제철의 한 공장이 철거된 뒤 유휴지로 남겨져있던
땅
33만㎡에 3백억엔의 비용을 들여 시설을 마련했다. 현재도 신일본제철이 전체 주식의 51%를 소유하고 있어 실제적인 주인이지만 스페이스월드를 만드는데는 미쓰비시상사와 일본항공(JAL) 등 30개가 넘는 일본내 ... ...
하와이제도는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칼데라바닥의 나머지 절반은 곧장 바다속으로 떨어져버렸다. 해양학자들은 침몰된
땅
덩어리가 4백30㎦에 이르며 그 파편이 낭떠러지가 끝나는 곳에서 약2백20㎞나 떨어진 해저에서도 발견된다고 보고했다. 무엇보다도 놀라운 사실은 이 떨어져나간 부분을 합산해보면 지금 육지로 솟아있는 ... ...
브라질 원주민 야노마미족 옛집 되찾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전화를 걸어 이 문제에 대한 자신의 관심을 나타내기도 했다.야노마미족은 정부로부터 이
땅
을 약 2백만달러에 사들였는데, 이곳의 광산자원은 여전히 정부소유로 남아 있다.이제 아마존습지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은 이른바 '생태경제학적인 구획정리'라는 계획에 따라 보다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 ... ...
코브라의 새사냥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아프리카에 사는 참새만한 새인데 꿀벌의 유충을 즐겨 먹는다. 그런데 꿀벌의 집은
땅
속이나 나무 구멍 속에 있기 때문에 벌집안내새 자신의 힘만으로는 유충을 잡아먹지 못한다. 때문에 그들은 다른 동물을 유인한다. 울음소리를 내거나 꼬리를 펼쳐 날아감으로써 강한 발톱과 힘을 가진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