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1,982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07
빛을 인식한다. 또한 곤충은 겹눈이라는 특이한 구조를 갖고 있어 하나의 영상이 수천
개
가 모인 모자이크 형태로 세상을 바라본다. 벌이 왜 에너지가 강한 자외선 영역을 인식하게 됐는지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한 가지 색으로 보이는 꽃잎을 자외선 카메라로 보면 꿀이 있는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7
상상력에서 출발했다.다들 기대 이상이군! 모두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
개
성이 있어.게다가 이미 미래형 도시 건설이 시작되고 있다니, 벌써부터 설레는 걸!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보기엔 어때? 친구들이 생각하는 최고의 미래도시를 홈페이지에 댓글로 달아 줘. 한 달 뒤, 최고의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07
‘세계에서 가장 든든한’ 토네이도이기도 하다. 둥근 벽을 따라 설치된 제트분출구 144
개
에서 강풍을 내뿜으면 단 7분 만에 토네이도가 된다. 토네이도를 이루는 공기의 무게는 무려 28t이다.박물관 관계자인 프리데리케 발렛은 “실내에 있는 연기를 빨아들여 천장에 달린 환풍구로 내보낸다”며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07
수 있는 꿀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농장이 대표적이다. 과수원이나 밭은 대
개
한 가지 종을 넓은 지역에 걸쳐 키운다. 벌 입장에서는 처음엔 ‘꽃가루와 꿀이 흐르는’ 천국으로 보이겠지만, 사실은 한 가지 꽃에서 나온 먹이만 편식할 수 있어 영양 불균형이 일어나기 쉽다.먹이의 ... ...
방사성 물질 오염 토양-콘크리트, 한 달 안에 정화한다
과학동아
l
201107
드럼통 50
개
를 처리할 수 있으며 6
개
월 간 80% 정도 제염했던 기존 제품에 비해 성능이
개
선된 것이다.먼저 오염된 토양이나 콘크리트에 질산 용액을 넣어 방사성 물질을 녹인다. 질산 용액을 침전시킨 뒤 여과하면서 방사성 물질이 분리된다. 이 과정을 통해 토양 등에 있는 방사성 물질의 80%까지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07
를 함께 제공하려는 노력들이 이뤄져 있다. 최근에는 앞에서 언급한 오차를 고려해 여러
개
의 초기 값 혹은 여러가지 수치예보모델로 수십 번 계산해 예보를 내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다. 이러한 예보 기법을 앙상블 예보 혹은 확률론적 예보라고 한다.결정론적인 예보(하나의 모델로 한번만 계산)인 ... ...
“인류 최초의 비행기 복원했어요”
과학동아
l
201107
만드는 직업도 재미있고 멋지다는 것을요. 만약 전시가 된다면 학생들이 비행기 날
개
구조를 상세히 볼 수 있게 천을 뜯어서 전시할 수도 있습니다. 힘들게 만들었지만 아깝지 않아요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07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연구의 방향을 제시했다. 이 교수는 “더 안전한 휴대전화를
개
발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얼마든지 가능하다”며 “지금 쓰는 내장 안테나 앞에 반사판을 달아 전자파가 머리 반대쪽으로만 나가도록 지향성을 주면 뇌가 받는 영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 ...
눈으로 배우는 화학!
과학동아
l
201107
원소의 특징을 재미있는 일러스트로 묘사하고 있다. 그레이 박사의 책과 같이 118
개
의 원소를 모두 다루고 있으며, 각각의 특징을 경쾌하게 묘사한다.지난 6월 1일, 국제순수응용화학회(IUPAC)은 원소번호 114번 ‘우눈쿼듐’과 116번 ‘우눈헥슘’을 주기율표 상의 새 원소로 등록하겠다고 발표했다. 200 ... ...
디노라이트 USB 현미경 AM-2011
과학동아
l
201107
아담한 크기지만 성능은 고급 현미경에 버금가 사물을 20~200배 크기로 확대한다. 4
개
의 발광 다이오드(LED) 램프로 비춰 어두운 곳에서도 상이 또렷하게 보인다. 자동으로 색과 노출을 보정해서 복잡한 설정 없이도 원하는 영상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배율에 따라 렌즈를 바꿔야 하는 기존 현미경과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