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학과"(으)로 총 4,8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맥경화 발생과정, 혈관 구조 재현한 '오간온어칩'으로 밝혀동아사이언스 l2018.01.03
- 질환의 사전 예방을 돕는 ‘오간온어칩’ 장비가 나왔다. 싱가포르 난양공대 대사의학과 한 웨이 호우 박사팀이 ‘죽상동맥경화증’을 일으키는 혈관의 변화를 손쉽게 감지할 수 있는 심장혈관 오간온어칩을 개발, 2일 학술지 ‘APL 생물공학’에 발표했다. GIB 제공 죽상동맥경화증은 ... ...
- [새해 다짐 3종 세트 ①] 2018년 담배 끊고 폐활량 늘일 방법은?동아사이언스 l2018.01.02
- 시간 마시는 미세먼지량을 조사하고 있는 미국 컬럼비아대 메일맨보건대 환경보건학과 다비잭 교수는 “자전거로 출퇴근하면 하루 대기오염 물질 흡입량의 절반을 마실 정도로 나쁜 공기가 폐로 많이 들어가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쉬고 있을 때 들이쉬는 공기량의 약 9배 정도인 70L를 자전거 탈 ... ...
- 소금기 농작물 피해 안녕! 염분 등 환경 스트레스 극복할 식물 연구 결과 나와동아사이언스 l2017.12.31
- 해가 없는 새로운 기생충 치료제 개발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순구 미국 워싱턴대 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팀은 유전학 연구에 널리 이용되는 모델 식물인 애기장대를 이용해 식물의 중요한 스트레스 저항 단백질인 ‘PMT’의 생성, 동작 과정을 밝혀내고 구조를 규명해 학술지 생물화학저널 12월 2 ... ...
- 당뇨병 정복에 필요한 건 ‘희귀 유전자’ 총량동아사이언스 l2017.12.28
- 대한 희귀 유전 변이 연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된다. 박태성 서울대 통계학과 교수팀은 같은 학교 원성호 보건대학원 교수팀, 전구 미국 텍사스대 보건과학센터 교수팀과 공동으로 대가족으로 구성된 멕시코계 미국인(20가족, 총 1034명)을 대상으로 한 당뇨병 유전자 변이 현상을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가릴까? 드러낼까? 옷차림 매일 고민이라면2017.12.26
- 현재 동화약품 연구개발본부에서 심신을 치유하는 좋은 약을 개발하며,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신경인류학 논문을 쓰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토닥토닥 정신과 사용설명서’ 등을 썼다 ... ...
- 개복치 족보 다시 쓰다과학동아 l2017.12.26
- 종이나 습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에추로 사와이 일본 히로시마대 생물학과 연구원 등 일본과 호주 공동 연구팀은 개복치 표본 30점을 분석한 ‘개복치 족보’를 ‘어류학 연구’ 2017년 12월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개복치를 ‘개복치(Mola mola)’와 ‘범프헤드개복치(Mola ... ...
- [미래산업③] 기술기반 창업이 살아야 미래 산업이 살아난다동아사이언스 l2017.12.26
- 대표는 대기업에 취업해 회사생활을 하다가 다시 학교로 돌아왔다. 그는 카이스트 물리학과 플라즈마 실험실에서 박사 과정을 밟으며 자연스럽게 사업에 대한 구상을 하게 됐다. 임 대표는 “플라즈마를 산업에 어떻게 적용시킬지 고민을 하다가 처음엔 막연하게 식품을 살균하는 기술을 ... ...
- 알아두면 쓸데있는 고지방·고단백 식사법동아사이언스 l2017.12.21
- 비피도 박테리아(doi: 10.1016/j.chom.2017.11.004)’란 논문을 발표했고, 미국 조지아주립대 면역학과 앤드루 그위르츠 교수팀이 ‘식이섬유 식단을 통한 장건강 보호(doi: 10.1016/j.chom.2017.11.003)’라는 논문을 내놓은 것이다. 쥐에게 식이섬유가 없는 고지방ㆍ고단백 식사를 제공하면, 1~3일 내 미생물환경이 ... ...
- [카드뉴스] 자존감에 집착하지 마세요동아사이언스 l2017.12.21
- 주위 사람이 무심코 던진 한마디에 감정이 오르락내리락하지요. 제니퍼 크로커 심리학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자존감이 높고 불안한 사람은 주위 사람들에게 쉽게 화를 내고 공격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반대로 자존감이 낮지만 안정적인 사람은 상대적으로 공격성이 낮았습니다. 높은 자존감은 ... ...
- 23년 모은 빅데이터로 철새 다양성 감소 확인동아사이언스 l2017.12.21
- 종의 다양성은 소폭 늘어난 것이 확인됐다. 국제 연구를 이끈 영국 케임브리지대 동물학과 타쓰야 아마노 박사는 “유럽조류보호청의 강력한 보존 정책으로 서부 유럽 지역을 찾는 철새 종의 전체 수가 증가 한 것"이라며 “하지만 일부 유럽 고유종은 더이상 이곳을 찾지 않게 됐다”고 설명했다.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