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뉴스
"
열
"(으)로 총 3,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찜질한다고 몸이 건강해질까?
과학동아
l
2015.01.13
이용하는 2.1GHz 전자기파가 더 좋을 겁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휴대전화를 온
열
작용에 이용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 찜질은 찜질일 뿐 맹신은 금물 wikipedia 제공 원적외선이 건강에 끼치는 효과는 어떨까요.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이 운영하는 학술논문 검색 서비스인 퍼브메드(PubMed)에서 ... ...
100kg 물건도 번쩍! ‘아이언맨’처럼… 특수 소방관 슈트 나온다
동아일보
l
2015.01.13
방독면 등 기능을 모두 장착한 ‘스마트 소방 헬멧’ 개발에는 3년간 36억 원이 투입된다.
열
화상 카메라를 터널 내부에 장착해 화재 발생을 스스로 감지한 뒤 자동 소화까지 이뤄지는 ‘터널화재 탐지 및 화재진압시스템’ 개발에도 3년간 22억5000만 원이 투입된다. 그동안 미국 일본 등에서는 다양한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붙여 수술 부담을 줄였다. 칼로 눈동자를 많이
열
필요가 없이 눈 뒷부분을 2mm 정도만
열
어도 이식이 가능하다. 이렇게 이식 한 장치는 카메라가 달린 안경다리와 무선으로 연결해 신호를 주고 받으며 시신경에 정보를 전달한다. 아직 임상실험은 시작하지 않았지만 토끼 등을 통한 동물실험에는 ... ...
간 80% 넘게 손상돼야 이상신호 느껴져… 국소 방사선 요법으로 癌크기 줄여 절제
동아일보
l
2015.01.05
있다. 암의 크기가 2∼3cm 이하로, 부위가 한두 개만 있는 간암 환자의 경우 고주파
열
치료법이나 동결치료법 등의 국소 치료법으로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간암 부위를 제거하는 절제 수술은 간이식 수술과 함께 현재 가장 성과가 좋은 치료법이다. 간은 정상의 경우 70% 정도를 떼어내도 한 달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결혼이 늦었는지 나이 오십이 돼서야 쌍둥이 아들 둘을 낳았다. 엄마를 잃고 남겨진
열
살짜리 아이들이 주위를 더욱 안타깝게 하고 있다. 12. 허먼 아이젠 (1918 ~ 2014.11. 2) 70여 년을 연구에 바친 면역학자 허먼 아이젠. - MIT 제공 1918년 뉴욕 브루클린의 유태계 집안에서 태어난 허먼 아이젠(Herman ... ...
‘한국 미라’, 취재노트 속에서 새로 태어나다
2014.12.28
책에는 조선 시대 미라가 보존될 수 있는 비밀도 담겼다. 뜨거운 횟가루를 이용한
열
소독과 공기차단이 바로 그것이다. 이밖에 중국 마왕퇴 미라와 이탈리아 알프스에서 발견된 외치 등 세계의 다양한 미라 이야기도 볼 수 있다. ... ...
[메리 크리스마스 특집] 오늘밤 제일 바쁜 산타 썰매의 비밀
2014.12.24
주머니 안쪽에는 강력한 전자기장 발생장치를 넣어서 탄소가
열
역학법칙을 거슬러 배
열
되도록 만든다. 그러면 산타클로스가 집을 방문할 때 통과하는 굴뚝에서 탄소를 모아 원하는 장난감을 만들 수 있다. 그렇다면 선물을 줄 ‘착한 어린이’는 어떻게 선정할까? 실버버그 교수는 착한 어린이를 ... ...
[신문과 놀자!/고희정 작가의 과학 돋보기]나뭇가지에 핀 하얀 ‘얼음꽃’
동아일보
l
2014.12.24
뿌리면 어는점이 내려가면서 얼음이 녹는데, 이때
열
이 필요합니다. 얼음은 필요한
열
을 탄산음료에서 빼앗기 때문에 그 대신 탄산음료가 얼어 슬러시처럼 되는 것입니다. ○ 상고대를 보러 가요. 우리나라에서 상고대를 볼 수 있는 곳은 어디일까요? 가장 유명한 곳은 소백산과 덕유산입니다. 충북 ... ...
불량 실리콘 웨이퍼가 나노분말로 환골탈태(換骨奪胎)
2014.12.17
웨이퍼, 금속 조각 등 반도체나 태양전지를 제조할 때 나오는 부산물을 플라스마의 높은
열
로 녹여 증발시켰다. 그리고 증발 물질을 다시 급속 냉각시켜 나노분말을 만들었다. 이 나노분말은 휴대전화 배터리나 전기자동차 등에 들어가는 금속배선과 연마제 등의 소재로 재활용할 수 있다. ... ...
항공기 만들던 기술로 국산 자동차 부품 만들었다
2014.12.10
성형하기 위해 개발된 ‘초소성 성형기술’을 개발했다. 항공기 제트엔진에서 발생한
열
로부터 부품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타이타늄 판재 부품을 국산화하면서 확보한 기술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자동차 개발에 응용하고, 자동차 부품 중 차체와 바퀴 사이에 위치해 차량의 흔들림을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