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젠트리 IBM 왓슨연구센터 연구원이 2009년 실질적인 돌파구를 마련하면서 빠르게 발전하기
시작
했다. 동형암호가 주목받는 이유는 빅데이터 시대를 맞아 개인 정보 보안이 화두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현재 MS와 IBM 등 글로벌 IT 기업은 자체적으로 동형암호를 개발하고 있다. 자사의 빅데이터 분석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확인할 수 있는 주사터널현미경(STM)이 개발되면서 나노기술은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
했다. 나노의 가장 큰 특징은 말 그대로 작은 크기다. 신문 한 장의 두께는 10만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쯤 된다. 나노 수준에서 물질의 형태나 구조를 바꾸면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물질이 ... ...
[Issue] 대륙의 실수? 사실은 전략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제품의 이미지 변신은 중국 스마트폰 업체 샤오미의 보조배터리가 한국에 상륙한 2015년
시작
됐다.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좋은 샤오미의 보조배터리에는 ‘대륙의 실수’라는 별명이 붙었다. 성능을 기대할 수 없던 중국산 제품이 실수처럼 의외로 좋은 성능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1만 mAh ... ...
[Issue] 청년실업 문제,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줄어든다고 청년실업 문제가 해결될까. 두 번째 문제는 학령인구 감소가 이미 2000년부터
시작
됐음에도 불구하고 청년실업 사태가 발생했다는 점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불황 때문에 학령인구가 줄어든 것보다 사회가 필요로 하는 근로자의 수가 더 크게 줄어든다면, 청년층 실업문제는 ...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둘둘 말리는 디스플레이. 차세대 디스플레이가 이토록 매력적인 문구로 표현되기
시작
한 지 10여 년이 지났지만, 현실은 여전히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딱딱한 무기 반도체는 둘둘 말기가 쉽지 않고, 유기 반도체 제작에는 유독성 용매가 쓰인다. 방법이 없을까. 정대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 ...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 이씨는 수학을 공부할 때 특히 흐름을 놓치지 않으려고 애썼다. 수학은 정의로
시작
해 정리와 명제로 이어지는 만큼 이해가 안 되는 내용이 있으면 처음으로 돌아가 내용을 다시 확인했다. 그리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남들에게 설명할 수 있는 수준이 될 때까지 고민했다. 물론 혼자만의 고민은 ... ...
자본주의의 역사적 전개와 특징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체제이므로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었다. 공장제 기계 공업의
시작
으로 인간이 기계의 부속품으로 전락해 수단으로 대우받는 인간 소외 문제까지 발생했다. 이와 함께 자본주의 발달에 따른 빈부 격차 심화 문제를 비판하며 평등한 사회를 꿈꾸는 사회주의 사상이 발달했다. [수정 ... ...
[가상인터뷰]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나이를 먹지 않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있단다. 일리: 또 다른 특징이 있니? 벌거숭이두더지쥐: 사람들이 우리를 주목하기
시작
한 건 우리가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고 알려지면서부터야. 통증 신호를 전달하는 단백질 중 첫 관문인 ‘TrkA’란 단백질에 변형이 생겼기 때문이지. 또 우리는 몸속에서 세균의 침입이나 독성 물질의 침투를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마음은 정말 가슴에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1662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토머스 윌리스 교수가 뇌의 세부 구조를 분석하기
시작
하면서 비로소 ‘신경학’이라는 학문이 등장했지요. 이후 서서히 뇌가 감정을 느끼고 생각하는 기관이란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가설3 마음은 송과선에서 몸과 만난다?! 17세기 프랑스 철학자 데카르트는 마음이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적절한 ‘밀당’이다. 가령 황순원의 소설 ‘소나기’는 소년과 소녀의 풋풋한 감정이
시작
되고 끝난 개울가를 얘기하며 독자를 문학의 세계로 끌어당긴다. 그 뒤 이런 물이 우주 역사에서 어떻게 탄생했는지 설명하면서 한순간에 소설의 감동을 밀어내고 과학의 세계로 들어간다. 현진건의 소설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