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생겼을 때 제가 준비된 사람이었으면 합니다. 또 한국이 언젠가 우주인 사업을 다시
시작
하고 저에게 임무가 주어진다면, 한국에 돌아와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을 돕고 싶습니다. 두 번째 우주인 사업은 첫 번째 우주인 사업과 목적이나 동기 등이 많이 달라질 겁니다. 처음 우주인을 배출하며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있다”고 말했다. [CASE 2] 사고 다발 지역_ 교차로와 비보호 차선 변경 운전을 처음
시작
했던 당시를 떠올려보자. 가장 진땀 나는 상황은 교차로에서 신호도 없이 ‘눈치껏’ 가야 하는 비보호 좌회전을 할 때였을 것이다. 자율주행자동차는 인공지능(AI)으로 이 상황에 대처한다. 기존의 차량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1980년대에 연구를
시작
한 미국과 유럽, 2005년에
시작
한 중국에 비하면 훨씬 늦게
시작
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그럼에도 6년만에 키블 저울 시스템을 완성했다”며 “5년 이내로 안정적인 실험값을 낸 뒤 외국과 실험값을 비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역학표준센터 연구팀은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전력망 국방 분야는 암호기술의 ‘텃밭’으로 불린다. 군사 통신에서 암호기술이
시작
됐고, 전쟁을 치르면서 발전했기 때문이다. 제2차 세계대전까지만 해도 암호기술은 군사적인 목적으로 먼저 개발된 뒤 다른 분야로 확대됐다.동형암호는 군사적인 목적을 위해 개발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끌었다. 컬링은 중세 스코틀랜드의 얼어붙은 호수에서 무거운 돌덩이를 맞추는 놀이에서
시작
됐다고 한다. ‘스톤’이라고 부르는 무겁고 넓적한 돌을 번갈아 던지며, ‘하우스’라는 원으로 된 표적에 얼마나 가까이 보내는지에 따라 게임의 승패가 갈린다. 그런데 이렇게 스톤을 움직이거나, ...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마지막 정리’ 증명을 계기로 정수론에서 랭글랜즈 프로그램의 위상이 달라지기
시작
했으며, 현재는 흔들림 없이 정수론의 주류로 확실히 자리매김했습니다. 랭글랜즈 프로그램이 제시하는 수학의 미래랭글랜즈 프로그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 관해 많이 알고 있어야 합니다. ... ...
Part 2. 우리가 필수가 아니라고?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시각디자인학과 교수는 끊임없이 반복되는 규칙이 있는 프랙털에 매료돼 프랙털 예술을
시작
했습니다. 같은 모습을 반복해서 만들어내는 나뭇가지처럼 자연의 모습을 프랙털 작품으로 만들어 내기도 하고, 프랙털과 상관없는 사물도 프랙털 개념을 이용해 표현하기도 합니다. 급기야는 기하학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보인다. 그러한 노력이 2∼3년간 꾸준히 지속되자 서서히 글로벌 팬층이 반응을 보이기
시작
했다. 회사의 재무적인 여력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감내하는 것은 최고경영층의 책임이지만 이러한 과정을 이겨냈을 때의 성과는 더욱 눈부시다. 자율성에 기반한 육성으로 이제 BTS 멤버 각자의 역량이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외계행성 탐색 위성 발사테스 발사를
시작
으로 올해는 외계행성 탐색이 본격적으로
시작
된다. 유럽우주국(ESA)은 올해 말까지 외계행성 탐색 위성 ‘케옵스(CHEOPS·CHaracterising ExOPlanet Satellite)’를 발사할 준비를 모두 마칠 예정이다. 케옵스는 밝은 별을 도는 행성 중 지구보다 크고 해왕성보다는 작은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나아가 건강한 장내미생물을 이식하는 치료 방법도 개발되기
시작
했습니다. 최근에는 약물에 대한 인체 반응과 미생물의 연관성이 밝혀지면서 장내미생물의 차이를 이용한 맞춤의학까지 그 범위를 넓히고 있습니다. 이기현_kihyunee@gmail.com서울대 세균학 및 생물정보학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