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전주기 800년 10번째의 행성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12호는 12월4일 레이저
관측
으로 표면 93%의 지형도를 만들었고 중력의 이상분포 등을
관측
했다. 8월8일에 발사된 13호는 12월9일 대기와 표면에 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했다. 최근에는 86년1월24일 오전 10시 보이저 2호가 천왕성에서 10만7천km까지 접근했다. 그리고 보이저2호는 지금 최종목표인 해왕성을 ... ...
원격탐사 가장 실용성있는 기술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위하여 1978년에 HCMM(Heat Capacity Mapping Mission)을 발사하여 1980년까지 활용하였다. 해양을
관측
하기위한 해양위성으로 1978년 미국의 Seasat-1이 발사되어 △해양표면의 형상연구 △대규모지역의 풍향및 풍속연구 △해양색조및 온도분포 조사 △파도의 높이와 형상, 빙산의 조사등에 활용되었으나 위성이 ... ...
세계에서 세번째 큰 광학 망원경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맡고 있다. 유럽 각국은 미국 소련 그리고 오스트렐리아에 뒤지고 있는 천문
관측
활동이 이
관측
소의 새로운 망원경에 힘입어 다시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 ... ...
PART 3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 구멍뚫린 생명의 보호막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이에 85년 3월에는 '오존층 보호에 관한 비엔나 협정'이 채택되었지만, 오존층 파괴의
관측
과 연구의 국제협력이 주안점이었을 뿐 어떤 규제조치도 포함되지 못했다. CFC사용규제에 관한 협정서 체결노력은 86년 12월, 87년 2월의 국제회의에서도 시도되었지만 불발로 그쳤다. 그러나 작년 9월16일 ...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미즈호기지와 간이
관측
소(아스카
관측
소)를 두고 내륙의 빙설과 지구과학을 중심으로
관측
을 수행하고 있으며 로킷발사대까지 갖춰놓고 있다. 일본은 전천후 쇄빙선 시레세호(1만1천6백t)를 보유하고 있어 전천후 탐사활동이 가능하다. 킹조지섬에는 가장 많은 기지가 몰려 있다. 아르헨티나 소련 ... ...
PART 2 「제5의 힘」 존재하는가 만유인력과 상대성이론 수정 위기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이들은 깊이 1천m와 6백50m의 수직갱에서 깊이에 따라 중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측
했다. 지구의 중심부로 갈수록 인력이 커지기 때문에 중력가속도도 커지게 된다. 그런데 '스테이시'의 실험에 따르면 아주 적기는 하지만 깊이들어갈수록 중력가속도의 증가폭이 줄어들었다는 것. 다시말해 ... ...
PART 4 초신성 폭발의 수수께끼 「초신성1987A」는 청색초거성이었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소련의 천체물리실험 우주선 '쿠반트'는 작년 여름 거의 동시에 초신성으로부터의 X선을
관측
했다. 초신성1987A의 빛은 점차 약해지고 있지만 과학자들의 열기는 좀처럼 식을 줄을 모른다. 어떤 학자는 이런 현상을 두고 초신성을 장미에 비유했다. 지금까진 싹만 보았을 뿐, 이제는 꽃피는 것을 볼 ... ...
PART2 발사체 96년에 실험발사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갖고있다. 지구에서 5백km궤도를 선회할 우주정거장은 위성발사장이나 수리소, 지구
관측
소로 사용될 예정. 앞서 지적한 태양발전 우주위성건설의 전초기지도 될것이다. 소련은 비슷한 계획인 '샬류트'와 '미르라는 우주공장 건설계획을 착수하고 있는데 이 계획에 따르면 우주기지를 3백20km궤도에 ... ...
달력이 탄생되기 까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먼저오는 오차가 발생했다. 사람들은 오차를 극복하기 위해 달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관측
하고자 했는데 이는 '새로운 달을 보기 전에는 단식하지 말라'는 모하메드의 지시에 따른 것이었다. 또한 회교력은 절기와 규칙적인 관련을 맺고 있지 않아 생활에 많은 불편을 주었다. 몇몇의 이슬람 ... ...
생명탄생의 대하 드라마 생명의 씨앗은 우주에서 날아왔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생각하고 있다. 혜성은 태양계를 주기적으로 통과한다. 지구에 접근하는 혜성을 충분히
관측
한다는 것은 가능하다. 생명이 없는 화학물질에서 생명이 탄생한다고 하는 복잡한 화학진화의 과정이 5억년 정도의 짧은 기간에 왜 일어났는가. 그 수수께끼도 여러가지 새로운 정보입수와 함께 언젠가는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