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속 밀도 이야기과학동아 l2009년 06호
- 보기에는 두 개의 떨어진 주머니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하나로 연결된 것이었다.위쪽의 하얗고 통통한 주머니가 부레다. 암컷 붕어(1)에는 노란 난소가, 수컷 붕어(2)에는 하얀 정소가 부레 앞에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진할수록 밀도 커진다소금과 물을 섞으면 질량은 둘을 각각 더한 양과 같지만 ... ...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과학동아 l2009년 06호
- 게는 창자가 없을까. 당연히 이는 사실이 아니다. 게는 배가 작게 퇴화해 머리가슴 아래쪽에 접혀 있어 마치 내장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 작은 배 속에도 분명히 항문으로 연결된 소화관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입과 연결된 대부분의 소화기관이 배 대신 머리가슴 속에 들어 있으므로 ... ...
- 퍼즐 연구 동아리 환영회과학동아 l2009년 06호
- ‘멘사 퍼즐’(보누스 펴냄) 시리즈 3권을 드립니다. 지난호 당첨자 명단은 과학동아 182쪽에 있습니다. 지난 호 정답 정답: A, G A, G를 제외한 나머지 도형들은 하나의 큐브를 회전시킨 것이다. A, G가 같은 큐브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바뀌어야 한다. A ... ...
- 내 세포로 만든 바이오치아 시대 열리나과학동아 l2009년 06호
- “그 이유는 충치가 상아세관을 타고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밝혔다.치아 아래쪽에는 치아를 지지하는 치주조직이 있다. 치근(이뿌리) 표면을 얇게 덮고 있는 백악질, 턱뼈에 부착돼 있는 치조골(치골, 이틀), 백악질과 치조골을 이어주는 섬유성 결합조직인 치주인대, 그리고 잇몸이 치주조직이다 ... ...
- 자생 생물 세밀화에 빠지다과학동아 l2009년 06호
- 모습부터 줄기에서 액이 나오는 것까지 표현하고 있죠.”컬러가 돋보이는 작품들의 한쪽에는 채색하지 않은 채 펜으로 그린 그림도 있다. 이른바 ‘학술묘사’(scientific drawing) 작품이다. ‘한국 자생생물 세밀화 공모전’은 3회부터 학술묘사 작품을 따로 심사했는데, 정인영 씨의 ‘참작약’이 ... ...
- 인간의 역사와 함께한 한국의 귀화식물과학동아 l2009년 06호
- 인간의 역사와 함께한 한국의 귀화식물 |박수현 지음 | 일조각 | 576쪽 | 6만 원귀화식물에 대해 내가 들은 첫 소문은 불편했다. 미국에서 온 ‘자리공’이란 식물이 여기저기 자리 잡아 우리나라 생태계를 망가트리고 있다는 얘기였다. 자리공의 적자색 줄기가 주는 강렬한 이미지까지 겹치며, ...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과학동아 l2009년 06호
- 걸 알 수 있다. 생쥐들은 대부분 5일 만에 죽었는데(평범한 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된 쪽은 살아남았다) 허파 조직을 검사해보면 1918년 당시 독감으로 죽은 사람들의 부검 결과를 묘사한 기록과 비슷하다.2007년에는 사람과 좀 더 가까운 원숭이를 대상으로 비교 실험한 결과가 발표됐는데(‘네이처’ ... ...
- ‘분장실의 강선생님’ 만든 분장화장품의 세계과학동아 l2009년 06호
- 말했다.현재의 색조화장품은 기능은 높이면서도 인체에 안전한 재료를 사용하는 쪽으로 발전하고 있다. 과거에는 마스카라 같이 검은색이 필요한 화장품에 카본블랙을 사용했다. 카본블랙은 천연가스나 타르를 불완전 연소시켰을 때 배출되는 그을음을 모아서 열분해해 제조한 물질이다. 이 물질은 ... ...
- 한국인 키 유전자, 비만 유전자 찾았다!과학동아 l2009년 06호
- 실제로 서구인을 대상으로 키 유전자 후보 20개를 찾은 지난해 연구결과를 보면 키가 큰 쪽 SNP를 많이 가진 그룹이 적게 가진 그룹보다 평균 키가 6cm 정도 큼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SNP와 관련된 유전자들이 도대체 어떤 작용을 하기에 이처럼 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이렇게 밝혀진 유전자 ...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과학동아 l2009년 06호
- 나사의 과학자들과 엔지니어들은 아직 남아있는 연료를 분사해 탐사선의 방향을 지구 쪽으로 향하도록 명령했다. 그리고 태양계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을 지구로 전송했다. 물론 수십억 킬로미터나 떨어진 탐사선과 지구 사이에 신호를 주고받는 데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6만 4000개의 작은 ... ...
이전3313323333343353363373383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