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때문이지.”“오, 역시 듣던대로 제법인걸? 이제 낙하산 버튼을 누르면 펼쳐질거야. 어느 정도 고도가 낮아졌을 때 펼쳐지도록 만들어 뒀지. 너희가 퀴즈를 맞히는 것과 낙하산은 아무 상관이 없어.”“만수르 너~! 끝까지 우릴 괴롭히는구나!”만수르와 비밀과학수사대 친구들이 아옹다옹 하는 동안 ... ...
- 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큰 로봇을 정교하게 조절하기는 어렵다는 거지요.●전기전도도 : 전기가 통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를 해결하기 위해 뇌에 직접 마이크로칩을 심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어요. 대뇌에 바늘 모양의 전극 칩을 삽입해서 뇌의 신호를 좀 더 정확하게 읽어내고, 이 신호를 기계에 연결해 움직임을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심으면 물에 휩쓸려 떨어지기 때문에 육상에서 먼저 키워야 한답니다. 해조류가 어느 정도 자라면 인공어초를 그대로 바다 속에 투입해요. 이런 방식을 ‘종묘 이식’이라고 하지요.이외에도 해조류의 종류에 따라 성숙한 해조류를 양파망에 넣어 인공어초에 매다는 ‘모조 주머니 시설’을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의료용 폐활량 측정기의 측정 결과와 비교했다. 그러자 측정 결과가 94.9% 일치할 정도로 정확하게 폐활량을 측정할 수 있었다(doi:10.1145/2370216.2370261).◀ 기침 소리를 분석해 폐렴을 94% 민감도로 진단할 수 있는 레스앱.목소리로 조울증을 진단하는 앱도 있다. 조울증은 기분이 지나치게 좋거나 나쁜 ... ...
- [Issue] 편리한 현대의 딜레마, 포장지 속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위생접시와 종이호일에서도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됐다.물론 과불화화합물이 걱정할 정도로 용출된 사례는 없었다. 제품을 빨거나 피부에 접촉시킬 때를 가정해 와류진탕추출기에 넣고 인공 침, 인공 땀으로 시료를 추출해 봤지만, 녹아 나오는 과불화화합물의 농도는 모두 검출 한계 미만이었다. ...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멀게 연관돼 있음을 뜻한다. 근연도는 개체군 평균에 비해 두 개체가 유전적으로 유사한 정도임을 상기하자. 만약 상대방이 행위자의 유전자를 그 유전자의 개체군 평균 빈도보다 더 높은 빈도로 가지고 있다면, 두 개체는 긍정적으로 연관된다(r > 0). 끼리끼리고 유유상종이다. 내가 상대에게 준 ...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숙주(인체나 동물)의 몸에 감염시키지 않고 오랫동안 세포에서만 배양시키거나, 25℃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만 배양시키면 바이러스가 숙주의 몸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능을 잃게 되면서 약독화된다. 홍역과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수두 등에 약독화 생백신을 쓴다.두 백신 형태는 질병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칵세타-헥크비스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연구자 중 한 명인 크랄은 1996년 국제정보올림피아드에 출전해 1등으로 금메달을 딸 정도로 어린 시절부터 컴퓨터 실력이 출중했습니다. 참고로 노린은 고등학교 시절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러시아 대표로 나가 3번 모두 금메달을 딴 경력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2번은 만점으로 금메달을 ... ...
- Part 3. [디자인] 키는 쑥쑥~, 몸무게는 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근육의 힘은 100배(H²)만큼 커져요. 그럼 무게에 비해 로봇을 움직일 수 있는 힘이 10분의 1 정도밖에 되지 않아요. 작은 벼룩이 자신의 키의 60배 이상 높이를 뛰어오르지만 사람은 그럴 수 없는 것도 이 때문이랍니다. MIT 연구팀은 폴리우레탄 고무와 왁스를 섞은 신소재로 격자 모양의 구조물을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물건이 있는지 정확하게 찾아내는 반면, 어떤 사람은 좋은 냄새인지 불쾌한 냄새인지 정도만 안다. 냄새에 예민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잘 인식하지 못하는 환경에서도 미세하게 나는 냄새를 알아채기도 한다. 마치 ‘개 코’가 달린 것처럼 말이다.개 코는 커녕 쥐 코만도 못하다?사람보다 동물의 ... ...
이전3313323333343353363373383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