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독자적으로 개발한 세계 최초의 초전도핵융합장치다. 정기정 ITER 한국사업단장은 “처음 우리가 핵융합장치를 개발한다고 했을 때 ‘언제 한국이 핵융합을 연구했냐’며 무시했지만, 지금은 모두가 KSTAR를 ITER의 프로토타입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현곤 ITER 한국사업단 기술본부장은 “ITER ... ...
- 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수수께끼의 전파, 12년 전 끊긴 인공위성의 신호?!지금으로부터 18년 전인 2000년 3월 2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이미지(IMAGE)’라는 인공위성을 발사했어요. 이 위성은 5 ...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 ...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새로 발견한 구름을 국제구름도감에까지 실은 구름 추적자들의 활약, 정말 대단해! 그런데 여기 또 어마어마한 추적자들이 있어. 바로 새로운 오로라 현상을 발견한 ... 구름,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 ... ...
- 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우리나라에서도 아마추어 과학자들이 활약할 기회는 있어. 최근엔 냄새나는 똥으로도 과학에 도움을 줄 수 있대. 대체 무슨 말이냐고? 한국인의 장 프로젝트, 스 ... 3. 구름,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 ... ...
- Part 1. 참고래, 땅에서 꺼내던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또 골격표본은 참고래의 실제 모습을 느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해요. 우리가 참고래를 직접 보기 위해서는 배를 타고 먼 바다에 나가야 하는데, 그마저도 물을 내뿜는 일부 모습만 보는 정도거든요. 이경리 연구사는 “골격표본을 만들면 많은 사람들이 참고래의 실제 크기를 느낄 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립백두대간 수목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호랑이의 나이에 4를 곱하면 대략 사람의 나이와 비교할 수 있답니다. 7살 수컷인 ‘우리’는 사람으로 치면 20대 청년, 13살 암컷인 ‘한청’은 50대 중년이라고 할 수 있지요.” 인류 최후의 보루, 종자저장고친구들은 호랑이숲을 떠나 씨앗처럼 생긴 작은 건물로 향했어요. “이 작은 건물의 ...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50년 뒤에는 닭의 가슴살이나 날개만을 먹기 위해 닭을 기르지 않아도 될 것이다. 대신 우리는 적절한 조건에서 닭의 한 부위만 별도로 배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배양육은 현재의 육류 소비의 문제점과 미래의 식량 부족에 대한 우려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가운데 있는 연단에 올라섰다.“우리는 달에 가기로 결정했습니다(We choose to go to the Moon). 우리는 1970년대가 오기 전에 달에 갈 것이며, 또 다른 탐사 임무를 찾을 것입니다. 이 일이 쉬워서가 아니라, 어려운 일이라는 점을 알기 때문입니다.”미국 정부는 소련을 뛰어넘을 목표로 달을 정했다. ... ...
- [과학자의 부엌] 소금과 유산균의 콜라보, 김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썰고 양념을 버무립니다. 김장은 2013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된 우리의 아름다운 전통입니다. 소금에 절이면 삼투압 현상 나타나배추김치, 깍두기, 알타리 무김치, 파김치, 부추김치, 나박김치, 동치미, 오이소박이, 열무김치, 갓김치, 순무김치, 양배추김치…. 김치는 300종이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질문을 던져요. 아마 평생 고민할 것 같아요. 그런데 역설적으로 이 문제는 우리의 원동력이기도 해요. 산업은 계속 바뀌고, 항상 새로운 것이 나타나니까요.” 홍유석 서울대 공대 산업공학과 학과장은 ‘산업공학은 어떤 학문이냐’는 질문에 이 같이 답하며 “늘 고민하고, 새로운 산업을 ... ...
이전3293303313323333343353363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