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생각하는 로봇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만들어지는 작동 알고리듬을 알아내고자 한다.[사람은 체스판의 현황을 보고 판세와 다음에 어떤 수를 둬야 할지 직관적으로 판단하는 면이 강하다. 그러나 인공지능은 모든 수와 상황을 계산하려 한다.] [사이언스’가 튜링 100주년을 기리기 위해 4월 13일자 표지로 쓴 튜링 패턴. 이 패턴은 ... ...
- 금성의 '미니일식'을 만나자! 태양일식 관측기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금성이 태양의 일부분을 가리는 현상이니 ‘미니 일식’이라고 불러도 좋을 것 같다. 다음 현상은 2117년에나 볼 수 있으니, 일생에 단 한번 만날 수 있는 진귀한 기회다. 우리나라에서는 오전 7시 9분부터 오후 1시 49분까지 볼 수 있다.우주쇼를 제대로 관찰하려면 전용 관측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
-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이렇게 만들어진 수소이온과 전자는 각각 또 다른 화합물을 생산하고 이 화합물들은 다음에 일어날 암반응을 진행시킨다.암반응은 이름처럼 빛이 없는 환경에서 일어나는 어두운 반응이다. 어두컴컴한 환경에서 제대로 활동할 수 없는 사람과 달리 식물은 전 지구의 생명체가 먹고 살아갈 포도당을 ... ...
-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수학동아 l2012년 06호
- 하나 떠올린다. 왼쪽 그림과 같이 선수가 정육면체 안에 들어가 있다고 상상하자. 그 다음 탁구라켓의 끝과 정육면체의 꼭짓점(A)가 만나도록 몸의 각도와 타구의 크기를 결정하면 된다. 물론 선수의 기량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정육면체는 타구의 기준이 된다.셋 공은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간다 ... ...
- 편견에서 벗어나고픈 13의 매력 발산!수학동아 l2012년 06호
- 면의 배치가 정삼각형-정육각형-정육각형으로 모두 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다음의 나머지 아르키메데스 다면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부풀린 십이이십면체를 살펴보면, 모든 면이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 꼭짓점에 모인 면의 배치가 정삼각형 ... ...
- 바둑도 수학규칙 따른다수학동아 l2012년 06호
- ‘the’라는 단어는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10개의 단어보다 10배나 많이 쓰이며,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100개의 단어보다는 100배나 더 많이 쓰였다.이번 연구에서는 바둑돌의 움직임이 마치 자주 쓰이는 단어처럼 특정한 규칙을 따른다는 게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바둑기사와 ...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임시 파일 및 삭제된 파일을 복구하기도 하고, 검색어 및 사이트 방문기록 등을 조사해 다음 범행 계획을 예측할 수도 있다. 편미분방정식으로 영상을 복원하라!CCTV에 찍힌 영상은 저화질이거나 손상된 경우도 많다. 이런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을 ‘인페인팅’이라고 한다. 원래 인페인팅은 훼손된 ... ...
- [정보] 부등식, 방향을 정하면 문제없어!수학동아 l2012년 06호
- 가벼운지 모르기 때문이다.먼저 9개의 반지를 3개씩의 세 그룹(A, B, C)으로 나눈다. 그 다음 세 그룹 중 두 그룹을 정해 양팔 저울에 올려보면서 모조품이 들어있는 그룹을 찾아 내야 한다. 양팔 저울의 결과는 수평이 되거나 또는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두 상황 중 하나다.① A와 B를 올린 양팔 ... ...
- 손 대면 톡 하고~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먼저 시도하는지, 어느 부위를 얼마나 오랫동안 만지는지 등을 기록했습니다. 그 다음에는 그들에게 다가가 실험 때문에 자료를 모으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둘이 어떤 사이인지를 설문조사했습니다. 그런 방법으로 총 154쌍의 자료를 얻었습니다.단계별로 신체접촉의 정도를 정리한 결과는 예상과 ... ...
- 문과냐 이과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생기면 아버지가 보여주는 것 말고 관심있는 것을 스스로 찾아서 보렴.” 영상독서를 한 다음 깊이 공부하고 싶은 분야의 전문적인 책을 찾아보고 공부를 본격적으로 시작해도 늦지 않다. 무엇보다 공부하는 과정이 행복해야 한다. 관심분야가 생겨서 스스로 공부를 하면 과정이 즐겁다. 스스로 ... ...
이전3293303313323333343353363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