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될 것이다. 이것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고생물학, 과학의 재미기도 하다.삼엽충 이후로
지구
에는 눈을 가진 다양한 생물들이 등장해 지금의 복잡한 생태계를 이뤘다. 그래서 우리는 눈을 가진 생물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빛이 아닌 냄새나 소리 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 생물들이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멀어진다. 이것이 휘어진 시공간의 증거다.
지구
의 질량에 의해
지구
주위 시공간도 굽어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 과학과 ‘썸’탄 수학 6❶ 행성의 타원궤도 - 뉴턴 미적분, 죽은 케플러를 춤추게 하다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 ...
“
지구
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호섬으로 떠나자”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과학동아가 미래의 해양과학자를 꿈꾸는 독자 여러분을 뜨거운 열대바다로 초청한다. 장소는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 축주에 있는 KIOST 태평양해양연구센터. 8박9일에 걸쳐 열대해양생물과 산호를 관찰하고 맹그로브 숲과 환초를 탐방한다. 항공료와 숙박비, 식비 등 모 ... ...
기후변화 주범 정확히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OCO-2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우주에서
지구
의 이산화탄소를 관측하려고 쏘아올린 두 번째
지구
관측 전용위성이다.2009년에 발사된 첫 우주선은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 ...
이제는 이소연을 보내줄 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짧고 그녀에겐 아직 긴 인생이 남아있다.국제 우주정거장은 여전히 90분마다 한 번
지구
를 돌고 있으며 중국은 독자적으로 우주정거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한국의 유인우주 연구는 비교하기조차 부끄러운 수준이다. 지금은 한국 최초 우주인인 그녀를 비난할 시간이 아니라 그녀의 퇴장이 우리에게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가지고 있을까?스타로드우주비행사 출신의 무법자!Movie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리더.
지구
인인 어머니와 ‘스파토이’란 외계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초능력은 없지만, 특수 장비를 갖추고 있어 무기 사용에 능숙하다. 특히 인공 눈으로 에너지 스펙트럼을 볼 수 있다.Science실제로도 인공 눈을 이식한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때까지
지구
의 알약은 빨간색과 파란색이 1/2의 확률로 나오는 걸까?이건 말도 안 된다.
지구
에서 파란 알약이 나왔는데 4년 뒤에 알파 센타우리의 결과가 파란 색이라면 우주가 모순을 일으키는 셈 아닌가? 양자역학적 상호관계는 빛의 속도보다 빨리 전달되는 것처럼 보인다.이를 다른 말로 ... ...
아인슈타인 팬클럽 회장 ‘알 슈탄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위대한 이론물리학자 앨버트 아인슈타인은 1955년 4월 18일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의 뜻을 기리기 위해 팬클럽에서 조촐한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부디 참석하 ... 들려 왔다.“칙칙~! 여기는 썰렁홈즈. 나
지구
로 돌아갈 수 있게 해 달라, 오버.”지금 썰렁홈즈는
지구
궤도를 쓸쓸히 돌고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45살이 된 셈이지요.
지구
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지금도 활동이 많은 행성이에요. 그래서
지구
에서 찾을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암석도 ‘40살’이죠. 태양계가 생기고 ‘1살’이 되기까지의 정보를 운석이 제공한답니다. 운석은 태양계가 탄생할 무렵에 찍은 사진이라고 할 수 있어요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지층기둥(코어) 하나가 완성됐다. 올해만 23개를 확보하는 게 목표다. 노희명 교수는 “
지구
온난화 이후 이곳을 어떻게 관리하고 보존할지 연구하는 데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혜민 극지연 연구원도 “동토에서 온실가스를 만드는 미생물을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알래스카 프로젝트는 ... ...
이전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