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대신 타인에 대한 관찰력과 공감능력이 뛰어난 저만의 장점을 활용하기로 했죠.” 모두가 만족할 만한 근무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 연구가 끝날 무렵엔 팀원들이 그를 가장 인상깊은 과학자로 꼽았다. 협력이 잘 되니 연구 성과도 만족스러웠다. 한국 영장류학계 최초로 위를 절개하거나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생각했어. 그리고 깨끗하게 밥을 다 비웠지. 네가 담아놓은 반찬 하나하나도 모두 먹었어. 네가 민망할까봐 너한테 말은 안 했지만 네가 끓여놓은 미역국에서는 대기업의 맛이 나더라. 네 나름대로는 열심히 숨긴다고 숨겼겠지만, 편의점에서 사왔을 미역국 포장지를 난 결국 보고 말았지. 별 생각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목표는 마고!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팔을 활짝 벌리며 말했다. “저는 오늘 여러분을 안내할 조우진이라고 합니다. 여러분 모두 여기 처음 와 보죠? 아마 앞으로도 다시 오기 힘들 거예요. 나중에 커서 결혼해서 아이를 낳으면 자랑해도 돼요. 하하.” 웃자고 하는 얘기 같았지만, 아무도 웃지 않았다. 남자는 머쓱한 듯 덧붙였다 ... ...
- Part 3. [안내] 사람과 동물 모두를 위한 인공 음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많은 양의 우유를 생산할 수 있게 개량된 젖소는 하루에 약 30~35L의 우유를 생산한다.이는 송아지가 필요로하는 양의 10배가 넘는다. 식사는 맛있으셨나요? 마지막으 ... 인공 고기Part 2. [디저트] 신선한 인공 우유와 인공 달걀로 만든 달콤한 쿠키Part 3. [안내] 사람과 동물 모두를 위한 인공 ... ...
- [과학뉴스] 전염병 모기, ‘왕’ 모기로 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약 1.5~2cm로 모기보다 크며, 유충일 때는 다른 모기의 유충을 잡아먹는다. 다 자라면 암수 모두 흡혈하지 않고 꽃의 꿀만 따 먹으면서 꽃가루를 옮겨 식물의 수분을 돕는다.이전까지는 광릉왕모기를 인공적으로 번식시키기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가로, 세로, 높이가 약 60cm인 암막 사육장에 지름 1 ... ...
- Part 2. ‘구글 루나 X프라이즈’ 올해 5개 팀 달에 도전, 민간 달 탐사 러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이름은 ‘참새(Sparrow, 아래 사진)’라고 지었는데, 현재 조립과 우주 환경 테스트를 모두 마친 상태다. 스페이스IL의 전략은 달에 착륙한 뒤 바퀴로 굴러가는 게 아니라 남은 연료를 분사해서 뛰어올라 500m를 이동하는 것이다. 로봇의 크기는 식기세척기 정도인데, 달에 도착해 이동하기만 하는 게 ... ...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깜짝 놀랄 만큼 발전한 것은 사실지만 시저와 모리스, 루카 등 유인원 캐릭터들은 모두 일차적으로 배우들의 연기를 토대로 한 것이다. 배우들의 연기를 통해 캐릭터가 개발되지 않으면 영화를 만들 수 없다. 임: 관객의 입장에서 배우는 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일 뿐 실제 사람은 아니라고 ... ...
- [Future] 한국 온 지 9개월, ‘닥터 왓슨’ 뭐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경우 시너지는 엄청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1월 부산대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두 왓슨을 모두 도입했다. 아직까지 ‘왓슨 포 지노믹스’에 입력된 유전정보 데이터는 수십만 명 수준이다. 하지만 수백만 명 이상으로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늘 경우 얘기가 달라진다. 지금은 왓슨이 의학 교과서나 ... ...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파란 장미, 파란 카네이션 등 많은 종의 꽃에서 파란색을 구현했다는 연구들이 있었지만, 모두 파랑보다는 보라에 가까웠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노다 나오노부 NARO 연구원은 논문에서 “우리가 이렇게 완벽한 파란색을 만들어 낸 것은 정말 우연이었으며, 우리조차 예상치 못한 것이었다”고 ... ...
- [Issue] 화려함을 디자인하는 과학, 불꽃놀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31 모양대로 박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반응은 회의적이었다. 이것이 과연 공중에서 모두가 알아볼 수 있는 31자 모양대로 불꽃을 그릴 수 있겠느냐는 것이었다. 폭약이 터지는 하늘은 3차원이지만, 불꽃놀이가 펼쳐지는 하늘은 2차원 도화지이기 때문이다. 만약 별들을 스마일 모양으로 박은 다음, ... ...
이전3283293303313323333343353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