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련
연관
사이
연결
접촉
인연
관여
d라이브러리
"
관계
"(으)로 총 6,372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많이 집적할수록 기억 용량이 늘지만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 단위는 기억과는
관계
가 없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트랜지스터로 동작 속도를 높혔다.요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얼마나 빠를까? FM 라디오의 최대 주파수는 108MHz다. 동작 주파수가 3GHz인 펜티엄4는 FM 주파수보다 30배 빠르고, 2GHz를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크기, 배터리 사용 시간, 인터넷 트래픽에 이르기까지 플래시메모리와는 아무런
관계
가 없는 기술이나 제품의 성능도 1년에 2배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쯤 되면 디지털 우주는 ‘황의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고 단언할 수 있다.플래시 기술의 영역은 메모리 분야에 그치지 않는다. 미국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때문에 그 줄기세포는 ‘여성용’이었던 셈.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성별과 나이에
관계
없이 배아줄기세포를 추출했다. 뿐만 아니라 환자 자신의 체세포에서 줄기세포를 얻었기 때문에 이를 환자에게 이식해도 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여성 척수질환 환자(33세)의 경우 자신의 체세포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환자들의 반응은 꽤 좋다. “(아바타와) 이야기를 더 하고 싶었다”는 반응에서 “대인
관계
를 잘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의견까지 긍정적으로 답변한 환자가 많다. 특히 어떤 상황에서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책을 찾는 방법을 익힐 수 있어 좋았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 ...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직접 파괴하는 ‘특공대’ 면역세포다. 연구팀은 2, 3년 전 쥐를 대상으로 암과 기생충의
관계
를 잠깐 연구했지만 아직은 결과가 일정하지 않다고 한다.인슐린을 만들지 못하는 당뇨병 환자를 기생충으로 치료할 수도 있다. 당뇨병 환자가 맞는 인슐린 주사를 유전자 변형 기생충으로 대체하는 ... ...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하면 거리감을 줄 수 있을까.연세대 인지과학연구실 연구팀은 조명과 깊이감의 상관
관계
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우선 두 개의 마네킹을 세워놓고 각각의 마네킹 앞 45도 위치에 조명을 세웠다. 그리고 조명을 번갈아 켜고 촬영한 사진을 피실험자들에게 보여주고 자극 반응을 지켜봤다. 그 결과 ... ...
인터넷 종량제 논란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주장한다. 또한 무제한 발송되는 스팸메일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통신업체
관계
자들은 설명한다.이런 사업자들의 구상은 처음부터 암초에 부딪혔다. 현재 인터넷 상에는 KT와 하나로텔레콤 등 통신사업자의 종량제 추진에 반대하는 운동이 조직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일부 네티즌들은 KT가 ... ...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존스홉킨스의대 제레미 네이선스 박사팀은 ‘프리즐드6’이라는 유전자가 곱슬머리와
관계
있다는 연구결과를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쥐에서 이 유전자를 제거했더니 머리와 뒷발에서 털이 소용돌이치는 모양으로 자라났다는 것. 네이선스 박사는 “사람도 프리즐드6 유전자를 갖고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챌린저호 발사가 계속 연기되면서 이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었다. 이런 까닭에 NASA
관계
자들은 한번 정도 발생한 오링의 부식 문제는 무시할만한 것으로 여겼다. 안전을 우선할 경우 오링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려면 로켓의 설계 자체를 바꿔야만 했다. 그러자면 시간과 비용이 상당히 소요될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때도 교사뿐만 아니라 뇌과학자, 심리학자, 교육학자, 시나리오작가 등 학습과 기억에
관계
있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해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뇌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학습생물학’을 제안한 독일의 생화학자 프레데리크 페스터는 “뇌에서 일어나는 생물학적 법칙들을 거스르는 ... ...
이전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