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소수점 이하 50조 번째 자릿수까지 나왔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항만을 이용해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8번째 자릿수까지 정확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985년 당시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소속의 수학자 빌 구스퍼가 이 식을 적용한 알고리듬을 개발해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1
700만 번째 자릿수까지 알아내는 데 성공합니다. 그보다 현대적인 알고리듬은
1
987년 미국 ... ...
[매스크래프트] #
1
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거리에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차세대중형위성의 속도는?그렇다면 202
1
년 3월 20일에 발사하는 차세대중형위성은 어떤 속도로 우리 지구를 돌까요? 차세대중형위성을 개발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차세대중형위성이 고도 약 500km에서 원 궤도를 돈다고 밝혔습니다. 그럼 중력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것을 증명해냈습니다. 논문은 무려 6년의 검증을 거쳐 수학계의 인정을 받고 2020년
11
월 ‘미분기하학저널’에 게재됐어요. STEP4 해밀턴-티엔 추측의 의미그렇다면 해밀턴-티엔 추측을 해결하는 것은 수학계에 어떤 의미일까요? 최경수 고등과학원 교수님은 “수학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이 ... ...
[수학체험실] 수학과 거리두기는 이제 그만! 인도의 베다 방진과 베다 도형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이해하고 효율적인 계산 방법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낸다. 그중 한 가지 방법은
1
부터 9까지의 수를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한 베다 방진과 그 규칙들이 그려내는 신비한 도형으로 수학을 이해하는 것이다. 베다 방진은 두 개의 한 자리 수를 곱한 수를 9로 나눴을 때의 나머지를 채워넣은 표다. 이때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을 영화처럼 만드는 무채색의 마법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20
1
0년에 공개한 액션어드벤처 게임인 ‘림보(LIMBO)’가 대표적입니다. 한국에서는 20
11
년에 출시됐습니다. 림보는 음산하고 어두운 분위기의 숲속에서 깨어난 소년이 각종 함정과 괴물들의 위협을 헤쳐나가며 자신의 여동생을 찾아 나서는 여정을 담고 있습니다. 림보의 화면은 검정에 가까운 ... ...
에디터토크 2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황새 둥지는 큰 나무 꼭대기에 있다. 황새는 20세기 초까지 국내에 흔했지만 자연에서
1
97
1
년, 동물원에서
1
994년 멸종했다. 최근 200여 마리 복원했다. 황새 우아하다!편: 알았다… 황새 이야기해….소연: 다 했는데.편: 소연: 따따따따따(=황새 울음소리). 2.편: 진중한 주제로 특집을 한 서동준 기자와 .. ...
[한페이지 뉴스] 공기 희박해도 OK 빛으로 비행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공기의 저항을 이용해 양력을 얻는 항공기는 성층권 하부까지만 날 수 있다. 그보다 고도가 높은 중간권 영역은 대기의 밀도가 낮아 양력을 받기 힘들기 때문이다. 대신 중간권 영 ...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월
1
2일자에 실렸다. doi:
1
0.
11
26/sciadv.abe
11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를 고려했다”라며 “화성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이산화탄소(
1
바)는 지하 깊이에서 암석의 압력을 받고 있어 현재 기술로는 대기로 배출시킬 수 없다”라고 말했다. “최후의 수단으로 정교하게 프로그래밍 된 나노봇을 주사했는데 결과는 기적적이었지.”생명의 나무로 ... ...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배우자 외의 다른 새와 번식하지 않는다. 황새 ‘커플’의 번식기는 2~7월이다. 매해
1
2~
1
월엔 둥지를 보수하면서 알을 품기 쉽도록 옴폭한 자리를 만들어 둔다. 이후 2월 초~3월 알을 낳아 품으면 한 달 뒤 새끼 황새가 알을 깨고 나온다. 하 연구원은 “올겨울은 유난히 추워서 아직 알을 낳진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우리우리스 종족이 지구 궤도 근처에 찾아 온 이유는 최강의 생물을 찾기 위해서였다.“의원님, 복코코 종족의 자료에 따르면 이 행성 최강의 종족은 사람이라는 동물입니다.” ... 이 은하계 최강의 생명체를 향해 저마다의 방법으로 신실한 경의를 표하고 있다.-202
1
년, 시민의 숲에서.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