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포터] 국제표준도서 마지막 숫자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03호
- 3장을 각각 1, 3, 4번 더미 위에 얹게 되겠죠. 3번 더미에서도 마찬가지로 진행됩니다. 1, 2, 3번 더미와 달리 4번 더미에서는 다른 더미에서 온 세 장이 아래로 갑니다. 그리고 처음 더미를 나눌 때 4번 더미 위에 있던 카드 3장이 다른 더미로 옮겨지죠. 즉 처음에 4번 더미 위에 네 개의 에이스가 있도록 ...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여러분, 브로콜리 좋아하시나요? 브로콜리를 자세히 살펴보면, 세부 구조가 전체의 모양과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이처럼 전체의 모양을 닮은 부분 구조 ... 다양한 수학을 넘나들며 700편이 넘는 수학 논문과 50권의 책을 저술한 시에르핀스키는 1969년 10월 21일 세상을 떠났습니다 ... ...
- [한페이지 뉴스] 10월 발사 ‘누리호’ 첫 연소시험 3월엔 ‘차세대중형위성’ 발사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도 앞두고 있다. 직경이 1.9m, 무게가 500kg인 차세대중형위성 1호에는 흑백 영상 기준 해상도 50cm급 광학탑재체가 실렸다. 박종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연구소 차세대중형위성사업단 책임연구원은 “발사 후 약 2개월간 본체와 탑재체 성능을 점검하는 초기운영을 ... ...
- [한페이지 뉴스] 큰고래 노랫소리로 해저지형 그린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강력해 해저 탄성파 탐사 시 음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2월 12일자에 발표했다. 큰고래는 바다에서 가장 시끄러운 노랫소리를 내는 동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2012~2013년 북동태평양에 설치된 해저면 지진계로 큰고래의 음파를 6차례에 걸쳐 녹음했다. 큰고래 ... ...
- [한페이지 뉴스] 유전자가위로 만든 네안데르탈인 뇌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하는 과정으로 뇌 발달과 시냅스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OVA1 하나의 유전자만으로 네안데르탈인의 진화적 차이를 설명하기엔 한계가 있지만 크리스퍼라는 최신 기술로 고대 인류의 뇌 기능을 살펴봤다는 데 의미가 크다.알리슨 무오트리 미국 UC샌디에이고 의대 교수는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작은 파티를 열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조차도 쉽지 않았다. 북극곰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1년 간의 탐험 중 북극곰은 약 60번이나 나타났다. 그래서 부빙 위로 나설 땐 항상 우리를 지켜줄 북극곰 경비병과 함께 했다. 인간보다 더 우아하게 부빙 위를 횡단하는 이 아름다운 동물을 조심해야만 했다 ... ...
- 살고 싶은 행성 찾아드립니다 '웰컴 투 우주부동산'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기사를 보려면? Intro. 살고 싶은 행성 찾아드립니다 '웰컴 투 우주부동산'Part1.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Part2.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Part3.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 ...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행성을 선별했습니다. 안타깝게도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행성은 없었어요. 다만 KOI 5715.01이 가장 많은 조건을 만족해 MVP(most valuable planet)로 선정됐습니다. 나이가 약 55억 살이고, K형 주계열성 주위를 돌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입니다.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2965년 가야 하는 먼 거리에 있다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정부가 1월 28일 발표한 ‘일상회복을 위한 코로나19 예방접종 계획’에 따르면,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상 중 18세 미만 소아·청소년은 제외돼 있습니다. 언제 맞을지 아직 결정조차 되지 않았죠. 소아, 청소년 교육·보육시설 종사자 역시 7월 이후에야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습니다 ... ...
- 해마다 찾아오는 동물 전염병, 살처분 대신 백신 접종 고려할 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브리핑에서 2월 15일부터 2주 동안 살처분 대상을 고병원성 AI 발생 장소 기준 반경 3km에서 1km로 축소하는 정책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감염병 발생 농가의 수가 초반에 비해 2월 들어 줄어든 만큼, 살처분 마릿수도 단기적으로나마 축소하겠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백신 도입에 대해서는 여전히 ... ...
이전3233243253263273283293303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