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준
견본
척도
규범
규격
본보기
규칙
d라이브러리
"
기준
"(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의미를 주며, 무덤에 기록될 만한 별은 아무래도 이미 확인된 고대인의 별자리 선택
기준
을 이용하는 방법이 적합할 것이기 때문이다.그리고 아득이 돌판에 구멍이 새겨질 당시 밤하늘을 생각해볼 수 있다. 당시 별들의 분포는 기원전 5세기로 가정해(우리나라 고인돌이 건설된 시기는 기원전 약 ... ...
UFO추락사진 사실인가 조작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존재를 둘러싼 논란은 사진에 찍힌 장면을 두고 곧잘 벌어진다.진짜와 가짜를 구별짓는
기준
은 무엇일까?가짜다1. 초점 - 사진 전체의 이미지에서 초점이 맞지 않는 사실이 명백한 가짜임을 증명한다.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을 숨기기 위해 초점을 흐릿하게 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진상의 ... ...
외계인 피랍체험의 진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존 맥의 얘기다. 그가 피랍 체험을 털어놓는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진실성을 인정하는
기준
은 ‘체험자들이 그 일을 얼마나 실제처럼 느꼈는가’와 ‘그것이 자신에게 제대로 전달됐는가’ 하는 사실 뿐이다.구체적인 단서 못찾아 이 문제에 대해 칼 세이건은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토마스 쿤의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따른 연대
기준
을 설정하고 새로운 유적의 바니시 층에서 얻어진 양이온 비율을 이
기준
과 비교해 연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들 양이온 비율은 시간이 갈수록 감소하는 특성이 있다. 이 방법은 어느 한정된 지역에서만 가능하며 C-14와 같은 다른 방법에 의해 확인된 절대연대 자료들이 필요하다는 ... ...
꿈의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F램 기술 선도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읽고 쓰는 반복작업 사이클이 1012-101 3정도 돼야 한다. 현재 개발된 F램은 이
기준
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신뢰성 문제다.이교수가 F램의 신뢰성 문제를 연구한 역사는 깊다. 1990년대 초 박사과정 때부터다. 그는 F램의 신뢰성 문제 중 하나인 반도체 내의 전하량이 줄어드는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있다.20세기초 미국의 천문학자 허블이 처음으로 은하를 분류하기 시작했는데 일차적인
기준
이 은하의 모양이었다. 소용돌이를 닮은 은하는 나선은하, 둥근 타원을 닮은 은하는 타원은하, 일정한 모양을 갖지 않는 은하는 불규칙은하 등이다. 또한 이들은 각각의 특징에 따라 세분됐다. 나선은하의 ... ...
샴쌍둥이 분리수술 생명윤리의 딜레마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여성 아델레이드와 사라를 만나 결혼을 했다. 이들의 결혼생활은 여느 사람들의
기준
으로는 매우 독특한 것이었다. 즉 아델레이드와 사라는 서로 독립된 집에서 살았는데 쌍둥이는 4일 동안은 아델레이드의 집에서, 그리고 다음 4일은 사라의 집에서 지냈다. 하지만 그들은 만족했으며 행복했다고 ... ...
실리콘밸리와 할리우드를 접목한 CNET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제공하는 ZDNet을 16억달러에 인수키로 했다고 발표해 깜짝 놀라게 만들었다. 지난 5월
기준
으로 양사의 현황을 살펴보면 종업원 수는 CNET이 8백명으로 5백30명의 ZDNet에 비해 다소 많다. 하지만 CNET이 세계 9개국에 사이트 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비해 ZDNet는 세계 20여개국에서 사이트를 운영중이어서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물병자리 베타별과 조랑말자리 알파별로 이루어진 별자리인데 고대부터 추분을 정하는
기준
으로 중시돼왔다. 물병자리도 태양이 2월 17일부터 3월 12일 사이에 통과하는 황도 별자리인데, 점성가들은 춘분점이 물병자리에 오면 예술과 과학이 함께 번성하고 인간성과 과학이 조화를 이루어 ‘우주 ... ...
동물도 말을 할까?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자신의
기준
으로 동물의 세계를 이해하려 한다.그래서 인간처럼 복잡한 언어 체계를 갖고 있지 않은 동물은 생각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과연 이러한 생각은 맞는 것일까.사람은 언어를 통해 경험한 일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동물도 이런 일을 할 수 있을까. 흔히 인간과 닮은 유인원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