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준
견본
척도
규범
규격
본보기
규칙
d라이브러리
"
기준
"(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를 향한 청소년들의 대축제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5백여팀이 참가했다. 이 가운데 7백여팀이 로켓 발사에 성공했다. 고등부의 경우 심사
기준
은 발사 이후 로켓의 고도가 20m 이상이어야 비행으로 인정받았다. 로켓이 흔들림 없이 곧바로 올라가는지에 대한 비행안정성이 심사항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밖에 낙하 안정도, 로켓 조립완성도와 ... ...
별은 매일 4분씩 일찍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1°씩 치우치게 된다.이는 물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시간이 별이 아니라 해를
기준
으로 정의돼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정오’란 해가 하루 중 가장 높이 솟아 있는 시각을 보편적으로 의미한다.마찬가지로 ‘자정’이란 해가 지구를 중심으로 관측자의 반대편에 있는 한밤중을 ... ...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율 OECD 1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공식 발표했다. 기후변화협약 교토의정서란 1997년 12월 CO₂ 등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기준
으로 5.2% 줄인다는 선진국 사이의 약속이었다. 미국은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을 위해 그동안 선진국들이 준비한 노력을 일방적으로 파기한 것이다.전세계 온실가스의 25%를 배출하고 CO₂ 배출량이 선진국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냄새가 강한 남성에 끌린다.항체 냄새가 아니라도 여성에게 있어 향기는 중요한 판단
기준
이다. 실제 영국의 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조사대상자인 영국 여성 7백89명 중 71%가 ‘남성의 향기에서 성적 매력을 느낀다’고 답했다고 한다. 반면 옷차림새는 17%, 머리모양은 8%에 그쳤다. 또 응답자중 70%의 ... ...
다이어트의 새로운 돌풍 비만약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적고 당뇨와 심장병 등 합병증이 잘 생기므로 25로 비만
기준
을 강화한다는 내용이다. 이
기준
에 따르면 동양인의 경우 1백70cm의 키라면 72.3kg만 넘어도 비만으로 봐야 한다.비만은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간다는 것과 구별해야 한다. 몸에 얼마나 많은 지방이 증가했는가를 측정해야 하는데, 비만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언급했다는 점입니다. 산천어나 토끼를
기준
으로 하는 얘기는 들어봤는데 개구리 피부를
기준
으로 삼아 얘기하는 것은 처음 들었어요.의준_ 개구리가 피부로 호흡하기 때문이겠죠.미경_ 그건 알지만 그래도 좀 어색하더라구요.충환_ 화성이라는 같은 주제를 다룬 ‘미션 투 마스’와 비교해서 ... ...
'당신은 창의적인가' 진단
기준
4가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최근 창의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환경오염이나 에너지위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창의적인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창의성이란 도대체 뭘까.인류는 새로운 것을 찾아내 이를 활용하면서 발전해 왔다. 이런 측면에서 인류의 역사는 곧 창의성의 역사다.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하지만 서로 다른 대상을 연구하는 여러 분야들을‘얼마나 수학이 많이 적용됐느냐’를
기준
삼아 비교하는 일은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관련단원고등학교 교과과정의 공통과학 물리 및 물리Ⅱ에서 수학이 응용되는 사례를 광범위하게 볼 수 있으며, 그밖에 생물Ⅱ(교차율 계산, 하디-바인베르크 ... ...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것이다. 그렇다면 강아지가 언어를 사용했다고 할 수 있을까.언어를 정의하는 최소한의
기준
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정보를 상징적인 부호를 사용해 남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지금 배가 고프다는 것을 알리는 행위는 언어라 할 수 없다.벌들은 춤을 상징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해 얘기를 ... ...
긴급진단, 안락사 논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이것이 적중했다. 둘째, B를 초래케 하지 않을 수 있는 선택의 여지가 P에게 있었다.위의
기준
에 따르면 환자에게 독극물을 주입하는 경우는 환자의 죽음을 의도했다고(즉 적극적인 안락사로) 봐야 한다. 따라서 커보키언 박사에 대한 미국 법원의 입장이 무어 박사에 대한 영국법원의 결정에 비해 ... ...
이전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다음
공지사항